<시청 앞에서의 키스의 표층 공간>
1. 기호학 대들기 6
가. 사진의 기호학
1) 사진의 발화과정
- 그 자체로는 기호가 될 수 없음
- 시간적 전후 관계나 지속성이 없는 이미지의 과정
2) 텍스트의 의미 파악
- 일정한 형식을 띠는 표현(signifier), 기표(Signified)를 기의로 구성된 기호로 접근해야함
3) 사진 텍스트의 기호적 가치
- 관찰자가 주어진 텍스트를 불 연속체를 재단하고 분절
- 텍스트의 구성요소를 모두 불 연속체로 환원시킬 수 있게 되면 하나의 하진의 기호가 됨
4) 파악방법
- 선조성을 갖고 텍스트에 접근
- 포커스가 놓인 지점에서 그 주변으로 자유롭게 이동한다는 시각적 특성을 지님
나. 텍스트 분절의 구체적 방법
1) 의소(Seme)
- 의미작용의 최소단위로 자율적 요소가 아닌 관계적 특성을 지님
2) 의미소(Sememe)
- 의소들의 결합으로 구성된 의미 작용의 요소
3) 어휘소(Lexeme)
- 의미소들의 결합으로 구성된 결과물
- 단어, 어휘 등을 말한다.
* 의도 + 의소 = 의미소
* 의미소 + 의미소 = 어휘소
※ 어휘소 "배" 분석
* 표준국어대사전 *
1. 의학 : 사람이나 동물의 몸에서 위장, 창자, 콩팥 따위의 내장이 들어있는 곳으로 가슴과 엉덩이 사이의 부위
* 의소 : 중앙성 + 보호성 + 신체성
* 의미소 : 배가 나오다.
2. 긴 물건 가운데의 볼록한 부분
* 의소 : 견고성 + 집중성 + 핵심성
* 의미소 : 대들보의 배는 튼튼하다.
3. 물리학 : 정상 진동이나 정상파에 진폭이 가장 큰 부분
* 의소 : 위치성 + 방향성 + 분석성
* 의미소 : 진동의 배가 높아 낮출 필요가 있다.
4) 동위소(Isotopy)
- 반복되는 동일한 의소를 형성
- 시각 기호의 구성 요소 속에서 동질적 가치를 띄고 있는 것
2. 사진의 예술적 가치
가. 오늘날의 사진
1) 예술성을 함유하는 텍스트
- 새로운 영상미를 자신만의 언어로 표현
- 예술로 인식되는 것은 사진 그 자체에만 국한될 수 있음
- 장르의 경계가 섞이고, 허물어지고 있는 상황에서는 무의미한 주제가 되었을 수도 있음
- 사진의 텍스트에 담겨있는 문화적 약호를 찾아냄으로 예술적 가치나 의미를 갖음
3. 로베르 드와노(Robert Doisneau)
가. 프로필
* 로베로 드와노 *
- 출생 : 1912 ~ 1994
- 프랑스 사진가
- 생활 속에서 밝은 유머와 풍자를 추구하던 낙관주의자로 평가
- 카르티에 브레송(결정적 순간 완적주의자)와 브랏사이(낭만적인 유미주의자)와 동시대에 활동
나. 로베르 드와노의 사진세계
1) 스냅사진(Snapshot)을 최대로 활용
2) 인간과 생활환경
3)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 벌어지는 심리적인 반응을 포착
4) 익살스러운 윰머로 독특한 세계를 이룩
다. 시청 앞에서의 키스(1950)
- 로베르 드와노의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진 작품
- 순간을 영원으로 지속시키는 사진의 매력
- 단순하면서도 강렬한 대조와 비치의 독특함
- 감각적이고 순간적인 인상을 경험
1) 의상
* 주변인물 *
- 기표(의미소) : 모자, 넥타이, 셔츠
- 기의(의소-영상소) : 차려 입음(격식), 폐쇄성
* 입맞춤하는 연인 *
- 기표(의미소) : 헝클어진 머리, 풀어헤친 머플러, 열린 가디건
- 기의(의소-영상소) : 캐주얼 복장, 개방성
2) 자세
* 주변인물 *
- 기표(의미소) : 정면주시, 찌푸린 얼굴, 뒷짐
- 기의(의소-영상소) : 결직성
* 입맞춤하는 연인 *
- 기표(의미소) : 고개, 허리, 어깨, 손
- 기의(의소-영상소) : 유연성
남녀의 자세는 콘트라포스토가 있다.
3) 배경
* 주변 *
- 기표(의미소) : 시청, 아침출근시간
- 기의(의소-영상소) : 무거움
* 연인의 배경 *
- 기표(의미소) : 흐릿한 나무, 강
- 기의(의소-영상소) : 가벼움
라. 시청 앞에서의 키스, 텍스트 해석
1) 동위소
* 의소 *
활기, 개방성, 유연성, 가벼움 VS 무기력, 폐쇄성, 경식성, 무거움
* 동위소 *
활력, 자유로움 VS 무기력, 틀에 박힘
2) 여인의 존재
무기력의 세계 >> 입맞춤 >> 활력의 세계
3) 입맞춤의 가치
- 정형화되고 건조한 일상의 삶을 깨어나게 함
- 시공을 초월하여 영원히 존재하는 사랑의 전형으로 승화
4. 시작적 범주
가. 초점
1) 연인은 중심으로 초점이 맞추어져있다.
나. 구도
고전성 VS 현대성
1) 고전성
연인을 중심으로 고전성이 나타난다.
고전적 회화와 유사한 구도임을 알 수 있다.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과 같이 메인의 인물을 중앙에 두는 구도를 말한다.
중심성, 집중성, 상승성
2) 현대성
연이을 제외한 주변에서 현대성이 나타난다
주변성, 평행성, 하강성
5. 텍스트의 구조와 의미
가. 텍스트 분석
- 형식, 동위소를 시각적 범주의 대조적 특징과 화면의 구성요소라는 2가지 관점에서 분석
- 텍스트에 담겨진 동위소 <활력 vs 무기력>, <고전성 vs 현대성>이 어떤 의미로 작용이 되는지 확인
나. 롤랑 바르트의 사진 해석
1) 스투디움(Studium)
- 문화와 세계에 대한 이해에 바탕을 둔 사진적 특성
2) 푼크툼(Punctum)
- 사진의 내부로부터 화살처럼 날아와 우리의 가슴을 찌르는 사건
3) 절대적이고 유일한 가치는 없다.
- 감미로운 절율로 사로잡는 입맞춤의 푼크툼은 드와노의 텍스트에는 절대적이고 유일한 가치라고 생각하지 않음
4) 반전의 가치
- 무기력이라는 것이 꼭 부정의 의미로만 쓰이지는 않음
두 연인의 입맞춤에 대한 주변의 무관심,
키스가 꼭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며
고립된 입맞춤은 활기찬 세상으로 연결되지 않음을 뜻한다
다. 기호학적 의미작용
1) 고전성에 대한 거부
- 과거의 예술작품의 키스는 중심성, 집중성, 상승성에 빗대어 생명을 불어넣는 것
- 현대인의 삶에서 거부된 신화적 삶의 소멸을 뜻함
2) 현대적 인간상
- 틀에 박힌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 죽지 않음으로 바쁜 현대의 삶을 표현하고 있다.
- 평행적으로 다니는 주변의 풍경들
따라서, "시청 앞에서의 키스"는 상호 모순적인 2가지의 스토리가 공존하는 것에 있음
<사진 미디어 읽기의 방향>
1. 사진의 다양한 변화
가. 사진의 특성화
1) 정보 제공양식
2) 커뮤니케이션 도구
3) 하나의 표현 양식
- 사진에 대한 분석은 여타의 다양한 장르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으로 거쳐야 할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과정
나. 디지털 시대, 문화적 패러다임
1) 네크로폰테(미국 미디어학자)
- 디지털 시대를 낙관적으로 바라보며 디지털 기술이 인간의 사회적 문화적 패러다임을 교체할 것
2) 머레이(미국 미디어 비평가)
- 디지털이 기술적인 정의를 뛰어넘어 패러다임의 변화로 이어질 것
다. 문화예술의 소비 형태 변화
1) 문자 텍스트
- 종류 : 민담, 설화, 전설, 동화, 소설 등
- 읽기 교육의 가치와 방법론 강조
2) 영상 텍스트
- 종류 : 광고, 만화, 뮤직비디오, 영화, 드라마, 게임 등
- 이미지 읽기를 통한 문화 리터러시의 필요성과 중요성
* 디지털 문화 시대 *
기호학은 멀티미디어 텍스트에 담겨진 사회문화적 가치에 대한 탐구와 해석의 기회를 제공
사진 텍스트의 분석과 이해가 전제되었을때, 디지털 문화 시대를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다!
'K-MOOC 공부 > 이미지로 따져 읽는 문화콘텐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광고(2), KTF의 시리즈 광고 (0) | 2019.01.08 |
---|---|
6. 광고(!), 소비와 욕방의 변주 (0) | 2019.01.07 |
4. 사진(1), 이미지분석의 매트 (0) | 2019.01.03 |
3. 시, 텍스트 해석의 출발 (0) | 2018.12.20 |
2. 문화콘텐츠, 문화와 경제의 접점 (0) | 2018.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