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흐의 일생과 예술>
1. 젊은 날의 고흐
가. 빈센트 반 고흐
- 1853년부터 1890년
- 요절한 천재화가
- 천재화가라는 명성과는 반대로 생존했을 때는 그림을 많이 팔지 못했다고 함
- 출생전에 사망한 형의 이름을 물려받음
: 집안의 맏이역할에 대한 부담감
- 가족들은 대부분 목사나 예술사
나. 화상(아트딜러)으로서의 고희
1) 구필화랑(네덜란드 헤이그)
- 16살에 삼촌의 소개로 시작
- 매일 예술 작품을 접하며, 예술적인 능력을 키울 수 있었음
- 밀레, 코로의 작풍의 영향을 받음
2) 구필 앤 컴퍼니 재직(영국 런던)
-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시기
- 약혼을 한 "유제니 로이어"에게 고백을 하지만 실연을 당함
3) 파리 구필(프랑스 파리)
- 예술작품의 상품에 대한 혐오
- 실직을 당함
다. 선교사로서의 고흐
- 아버지의 뒤를 이어 목사가 되려함
- 신학공부를 시작하지만 낙방
- 1976년에 보리나지탄광(벨기에)에 임시 선교사로 활동
* 선교사 직위 상실 *
- 가난한 사람들과 함께하려함 >> 선교사의 존엄 훼손 명목
- 이 일로 아버지는 고흐를 정신병원에 보내려고 함 >> 아버지와의 불화
※ 지금까지 제가 알고 있는 기독교 상식으로 이해하기 힘들지만 그렇다고 하네요. ※
라. 예술의 시작
1) 또 하나의 실연
- 사촌 누이 키 보스트리커(과부)에게 연정을 느끼고 청혼함
- 집안에서는 반대와 비난을 받게됨
- 인생의 2번째 사랑도 좌절과 상처를 입
- 예술가로 전향하는 계기가 됨
2) 예술가의 삶
* 1880년 *
- 사람과 교류를 끊고 그림을 그리기 시작
- 초기 : 드로잉과 수채화에 전념
* 1882년 *
- 헤이그로 넘어와 페인터 앤톤 모브와 만남
- 드로잉 이슈로 사이가 멀어지게 됨
3) 씨엔 후닉과 동거
- 페인팅 모델로 씨엔 후닉과 인연
- 이후 씨엔과 그녀의 딸은 고흐의 작품 모델이 됨
- 아버지의 반대로 이별
4) 아버지의 집 누넨
- 1882년 누넨으로 이사를 감
- 드로잉에 열중
- 방직공과 농부 주제로 다양한 작품을 그림
- 마고 베그만과 사랑에 빠졌지만, 집안의 반대로 이별
2. 고흐의 예술 인생
가. 후기 인상주의 화가
1) 작품스타일
- 인간의 감성과 감정 표현
- 투박하고 물결치는 듯한 붓칠
- 기존 전통 회화와의 차별화
- 세잔, 고갱과는 다른 독창적인 예술작품
- 약 2100점의 작품 = 860(유화) + 1300(수채화)
2) 현대미술의 가교 역할
- 20세기 야수파, 독일 표현주의 등에 영향을 줌
나. 작품의 성향
1) 초기 작품
- 농민,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그림들이 많음
- 노동자들의 힘든 삶을 표현
- 어두운 색을 주로 사용함
- 사실적인 묘사보다 본인의 느낌에 따라 표현
※ 대표작 ※
방직공의 옆모습(1884) / 방직공이 있는 실내(1884) / 감자를 심는 농부와 아내(1885) / 감자를 먹는 사람들(1885)
2) 트러블 메이커
- 비인기 성향의 작품
: 당시 인기 있는 화풍은 인상파
- 벨기에 예술아카데미 가입(1885)
: 그림 표현 방식에 대한 갈등
3) 프랑스 파리에서의 삶(1886~1888)
- 200점 이상의 작품을 남김
- 화려하고 역동적인 화풍
- 피사로, 쇠라, 폴 세잔, 고갱, 루쏘 등과 교류함
- 초기작품과는 다르게 어둡고 무거운 분위기 탈피
- 주관적 느낌과 감정에 따른 표현주의적 성향이 나타남
- 인상주의, 분할주의, 상징주의 등도 접하게 됨
- 목판화를 통해 이국적 생체와 형태를 만나게됨
1887년, 시냑의 점묘법, 보색대비 기법 습득
※ 대표작 ※
- 아니에르의 세느강을 가로지르는 다리(Bridges Across The Seine At Asnieres, 1887)
- 탕기 영감의 초상(1887)
4) 프랑스 아를(1888~1890)
- 고갱과의 2개월 동거 >> 잦은 마찰로 떠나게 됨
- 신경발작으로 귀를 자른 시기
- 프랑스 남부의 강렬한 햇빛에 영감을 얻음
- 고흐 만의 독특한 예술관이 완성되는 시기
- 선명한 색에 대한 재창조
- 강렬한 에너지를 발산하는 선명하고 대비되는 색상과 색조
- 원색적인 색조가 두드러지는 그림
※ 대표작 ※
해바라기(1888) / 밤의 카페 테라스(1888) /
비가 온 뒤 오베르의 풍경(Landscape at Auvers after the rain, 1890)
※ 까마귀가 있는 밀밭(1890)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Wheatfield_with_Crows
- 고흐의 다가올 죽음을 암시하는 그림
- 노란색과 어두운색의 대비를 잘 보여주는 작품 중에 하나
- 어두운색 : 먹구름, 까마귀 때
- 밝은 색 : 노란 밀밭
<러빙 빈센트(Loving Vincent) 제작배경>
1. 러빙 빈센트(Loving Vincent)
가. 아르망의 여정
- 우체부 아들 아르망이 테오에게 편지를 전달하기 위해 떠나는 여정의 시작
고흐가 권총으로 자살시도 후 3일 뒤에 사망
- 고흐의 죽음에 의심을 품으며 무성한 소물들 속에 고흐의 죽음에 얽힌 미스터리를 추적
- 고흐의 일생과 예술혼의 추적
- 관객들로 하여금 상상력을 유발 시킴
나. 극의 배경
- 1891년 아르망이 오베르에서 고흐가 보낸 마지막 6주
- 배경 공간과 만나는 사람들은 고흐가 그렸던 풍겨화, 초상화를 통해 재현함
2. 제작배경
가. 2분의 애니메이션
- 감독 : 도로타 코비엘라 / 휴 웰치먼
- 제작지원 : 폴란드 영화협회
- 고흐가 남긴 서간집을 통해 2분의 짧은영화로 제작
나. 제작 기획
1) 최초의 장편 유화 애니메이션
- 고흐 작품의 연결을 통해 마지막 인생을 재구성하여 영화화 시킴
2) 고흐의 풍경과 장소
- 6만 2천여장의 유화작품을 만듦
- 모든 그림은 반 고흐의 작풍을 그대로 재현
- 고흐의 작품이 단순한 작품이 아닌 고흐의 삶자체임
<러빙 빈센트(Loving Vincent) 분석>
1. 애니메이션으로 재탄생한 고흐의 작품
가. 시작장면
1) <별이 빛나는 밤>
- 구름이 움직이는 장면을 연출함
- 원작의 느낌을 그대로 살림
- 오프닝만 1년 소요
스튜디오 촬영 >> 유화 작화 >> 컴퓨터 작업을 통해 완성
2) <아르망 룰랭의 초상>, <즈아브 병사의 반신상>
- 아르망과 병사가 싸우는 장면이 나온다.
3) <아를 밤의 카페>, <밤의 카페 테라스>
- 아르망이 술을 마시며 대화를 나누는 곳
나. 풍경화
1) <오베르의 평원>, <비가 온 뒤 오베르의 풍경> 등
- 고흐의 작품들이 움직이는 듯한 공간을 구현
2) <노란 집>
- 고흐와 고갱이 다투는 곳
3) <까마귀가 나는 밀밭>
- 아르망과 마르그리트가 앉아 대화를 나누는 배경
다. 초상화 속 인물
1) 탕기 염감의 초상
: 고흐에게 미술재료를 지원하는 재료상
2) 라부 양의 초상
: 고흐가 죽기전에 머물던 여관의 딸
3) <피아노에 앉은 가셰의 딸>, <가셰 박사의 초상>
: 고흐의 주치의였던 폴 가셰와 관련된 인물
라. 고흐의 자화상
- 고흐는 자화상을 많이 그린 화가로 알려져 있음
- 10년동안 43점을 그림
2.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
가. 유화작품
- 모든 장면을 1장 1장 유화로 그렸음
- 일반적인 그림과 달리 전문화가들이 필요하였음
- 노동력을 그냥 갈아 넣었음
- 약 6만 장 이상의 유화
나. 애니메이팅
- 일반 애니메이션은 초당 24프레임이었지만, 러빙 빈센트는 초당 12 프레임의 애니메이션
- 셀 애니메이션 방식을 사용함
: 배경은 고정시키고 인물이나 사물만이 움직이게함
다. 스크린 전환
- 고흐의 작품은 사이즈가 각각 다르게 적용됨
- 스크린(67cm * 49cm)의 비율로 제작
라. 작가의 상상력
- 고흐의 일상 : 흑백영상 플래시백
- 고흐 화풍의 유화로 그리지 않음
3. 유화 애니메이션 제작 시스템(PAWS)
가. 페인팅 애니메이션 워크스테이션(PAWS, Painting Animation WorkStation)
1) 유화 이미지 제작을 위해
프로젝터, 캔버스, 카메라, 모니터, 조명기구를 한 곳에 설치한 시스켐
2) 로토스코핑 기법을 보다 효율화시킨 작업
※ 제작과정 ※
실사촬영 이미지 >> 캔버스 투사 >> 고흐의 작법으로 덧칠
나. 팀 구성
1) 페인팅 디자인팀
- 그림을 재구성, 앵글의 변화에 따른 각도 이미지를 계산
2) 캐릭터 티자인팀
- 초상화 속 인물의 배우들을 중심으로 유화 작업
다. 초상화 속 인물들의 재현
- 배우를 캐스팅하여
- 실사촬영 : 크로마키에서 연기를 시킴
- 로토스코핑 : 인물 형태를 그대로 복사하여 사실적으로 표현함
1) 모션 컨트롤(Motion Control)
-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카메라 촬영
- 다양한 각도에서 섬세한 촬영
'K-MOOC 공부 > 애니메이션 영화의 혼성적 연출특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애니메이티드 다큐멘터리 (0) | 2018.12.25 |
---|---|
4. 초현실주의 작풍과 애니메이션 표현기법 (0) | 2018.12.15 |
3. 애니메이션 로토스코핑의 실제와 허구의 혼성 (0) | 2018.12.14 |
2. 뮤지컬 애니메이션 (0) | 2018.12.11 |
1.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구현된 동서양 문화 (0) | 2018.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