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MOOC 공부/애니메이션 영화의 혼성적 연출특성

4. 초현실주의 작풍과 애니메이션 표현기법

by 2000vud 2018. 12. 15.
반응형

<초현실주의>


1. 초현실주의 발자취


가. 초현실주의의 예술적 의의


1) 초현실중의 출발

1924년 앙드레 브로통의 쉬르레일리슴에서 출발


"이성에 의한 어떤 감독도 받지 않고, 심미적인 또는 윤리적인 관심을 완전히 떠나서 행해지는 사고의 받아쓰기"


- 합리성, 사실주의 화풍과는 반대되는 >> 아방가르드적 예술의지


2) 20세기 초 거대담론에 저항하는 예술 사조

- 인간의 본성과 자의지 표현

- 전위적인 예술 작품

: 문명에 대한 허위, 위선에 대한 성찰


2. 초현실주의 예술


가. 초현실주의란?


- 비 현실주의적, 비 물질주의적 관점으로

물리적 법칙에 지배받는 실제세상을 해체하고 재구성함


- 해방된 자의지에 대한 표출

- 기존의 질서에 부합되는 관념적 의식에 반대 접근


1) 해체주의적 공간구성


- 원근법, 사물의 배치원리를 부정

- 전통적 회화작품을 거부

- 논리적 업압, 합리성에서 벗어나 본성적 표현을 중시


2) "초현실주의 표현양식의 근간"


* 자동기술법(Automatism) *

: 자유로운 이간 본성의 표현의지 + 무의식적 자동작용


나. 초현실주의 회화기법


* 데페이즈망(Depaysement)기법란? *


1) 우리의 주변에 있는 대상들을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함과 동시에

전혀 다른 요소들을 작품안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일상적인 관계에 놓인 사물과는 이질적인 모습을 보이는 초현실주의의 방식


2) 상관없는 물체를 한 공간에 그려 넣고, 낯선 맥락에서 배치하는 것


1) 막스 에른스트(Max Ernst)


- 독일 출신 초창기 초현주의 화가

- 쉬르레알리즘의 대표

- 마케의 지도로 표현주의 기법의 그림

- 나무, 돌 등을 이용한 프로타주 기법을 통해 기과한 이미지 창조


<플레아데스(Pleiades,1920)>

- 리스 신화 속 아틀라스의 딸인 님페 자매

- 오리온에게 쫒기다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이루는 별자리가 됨

- 사진 이미지를 통한 콜라주 기법

- 실제 물리적 세상의 중력법칙에서 벗어난 기형적 형태 묘사와 왜곡된 이미지


꿈과 현실을 중첩하는 몽환적 이미지를 표현

 

출처 : https://www.wikiart.org/en/max-ernst/pleiades-1920


2) 조르조 데 키리코(Giorgio De Chrico)


- 그리스 출신 이탈리아 화가

- 신비롭고 형이상학적인 작풍으로 초현실주의에 많은 영향을 끼친 화가


* 사랑의 찬가(The Song of Love, 1914) *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The_Song_of_Love


- 고대의 그리스 신을 연상하는 석고 두상과 빨간 장갑, 초록색 구슬, 푸른하늘과 공장

- 대상물은 전혀 연관성이 없음

- 대상간 상충되는 배치가 데페이즈망 기법


부조화를 통해 다른 차원의 두 사물을 접하고,

꿈속의 상상의 이미지와 현실을 매개하는 낯선 이미지로 재현


다. 초현실주의 표현기법


1) 프로타주(Frottage)


- 거친표면에 연필 등을 문질러 얻게 되는 이미지

- 자동기술법에 기초하여 다양한 재료 시도 중 우연한 효과

- 의식이 불안한 이미지 표현


2) 그라타주(Grattage)


- 화폭에 색을 두껍게 칠하고, 날카로운 도구를 긁어내어 표현

- 고독, 정적, 어두운 풍경에 대한 기억 표현


3) 콜라주(Collage)


- 풀로 붙인다는 뜻

- 피카소 등이 캔버스 유화의 한 부분에 신문, 벽지 등의 일부를 풀로 붙였음,

초창기 "파피에 콜레"로 불림


4) 데칼코마니(Decalcomanie)


- 종이와 종이를 압착하여 물감을 짓뭉개는 방법

Ps. 학창시절 미술시간에 종이를 반으로 접고 물감을 뿌리고 접는 기억이 있을 것이다.



<영상예술매체로써의 애니메이션>


1. 1895년 애니메이션의 시작


가. 애니메이션이란?


1) 어원

: Anima(애니마, 생명을 불어 넣음)에서 유례


2) 프레임 바이 프레임(Frame by frame)의 매커니즘을 바탕

: 그래픽을 통해 현실세계를 모방 또는 환상적으로 재현하는 허구적 특성


3) 생명력

: 이미지의 연속적 재생을 통해 움직이는 것으로 인지

: 사실을 재현한 이미지이면서 창조적 이미지


"조작된 동작을 창조하기 위한 모든 종류의 테크닉에 관련된 것으로 애니메이션 예술은 실사영상 방식과는 다른 다양한 기술조작에 의해서 움직이는 이미지를 창조한다."

- 국제 애니메이션 필름협회 曰 -



2. 애니메이션 영상의 3가지 기능


가. 사실적 모사 + 상상의 이미지


- 실사영화 : 현실세계를 영상으로 '기록'

- 애니메이션 : 각 프레임의 이미지가 '창조'

- 실제 대상물 + 비현실적 상상

- 영상을 이용한 창작이 가능


최근에는 CG의 눈부신 발전으로 경계가 모호해졌다.


나. 움직임의 미학 구현(컴퓨터 애니메이션)


- 1908년 마리네티(이탈리아) : 미래파 선언

- 정적 이미지 부정

- 기계사회의 속도감 예찬

- 연속동작의 표현은 미래적 가치

- 움직임의 미학 구현


- 1920년 가보와 페브스너 형제 : 리얼리스트 선언

- Frame by frame

정적인 이미지 탈피는 곧 시간 흐름에 따른 이미지 변화 표현


다. 사운드 효과


- 영상과 사운드의 기계적 통합

- 완벽한 모방, 진보된 영상 리얼리즘 구현

- 대사, 음향, 음악을 통해 맥락의 흐름 인지 유도


1) 애니메이션 사운드 효과

- 생명력 있는 캐릭터 창조

- 사실적 느낌 연출


* 최초의 유성영화 *

: 재즈가스(1927, 워너 브라더스)


* 최초의 유성 애니메이션 *

: 증기선 윌리(1928, 디즈니)



<초현실주의 애니메이션>


1. 초현실주의 영화


가. 최초의 초현실주의 영화 <안달루시아의 개(1928)>


1) 화가, 감독

- 화가 : 살바도르 달리

- 감독 : 루이스 부뉴엘


2) 안달루시아의 개

- 영화의 고전으로 널리 알려져 있음

- 기과한 장면연출 + 전통적 서사 전개 파괴

- 스토리의 개연성을 무시

- 이미지의 연상 작용으로 구성


나. 초기 초현실주의 애니메이션


1) A Phantasy(1952, 노먼 맥라랜)


- 몽환전인 풍경과 전체적으로 푸른 색

- 태양같은 구에서 시계로의 연계

- 전자음과 피리소리가 나옴

- 지금이야 전자음과 아날로그 음이 많이 어우러지는 것이 많지만

- 당시에는 획기적인 시도였음


2) Heaven and Earth magic(1962, 해리 스미스)


- 컷아웃 기법을 통한 제작(데페이즈망 표현)

- 사람, 수박, 망치, 해골 등의 소재를 사용

- 소재의 이미지 자체를 강조, 주술적 오컬트적 영상 연출을 통해 기괴하고 신비로운 장면을 연출

Frame by Frame을 통해 새로운 영상미학이 시도됨


3) Fantastic Planet(1973, 르네 랄루)


- 거인족의 지배를 받는 작은 인간을 애완동물처럼 묘사

- 러시아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함

- 정치체제를 부정하고 억압된 인간성의 회복을 주장함

- 동유럽의 작가들은 사회주의 체제에서 저항의 의미로 초현실주의를 사용하였다고함


4) 대화의 가능성(Dimensions of Dialogue, 1982, 얀 슈반크마에르)


- 진흙을 이용한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 인간성 소외, 관계의 상실, 사회의 억압된 구조 비판



2. CG로 구현된 초현실주의 애니메이션


가. The End(1995)


- 감독 : 크리스 랜더러스

- 그래픽 소프트웨어 테스트를 위해 제작한 첫 작품

- 3D CG 애니메이션을 예술적으로 적용

- 체스판을 기준으로 남녀가 춤을 춤

- 이질적 소재들이 교차로 등장

- 비선형적 서사 + 그로테스크하고 파격적인 시각 구성

- 데페이즈망 + 콜라주


* 데페이즈망 *

- 조각조각 난 캐릭터의 모습

- 전광판과 같은 이질적 소재의 배치


* 콜라주 *

- 낮선 소재들을 가져다 붙임

- 이질감있고 모순적인 이미지를 통해 신비로움 표현


나. Ryan(2004)


- 감독 : 크리스 랜더러스

- 사이코 리얼리즘(Psycho-Realism)을 표현 >> 꿈 + 현실

- 2005년 아카데미상 수상


* 초현실주의 우연성 *


- 상상력에 의한 CG

- 얼굴의 일부가 분절과 인체 내부가 투과되어 파격적 연출

- 신비로움 창출

- 심리세계를 영상화


* 시대의 흐름에 따른 초현실주의 작풍(작화)변화 *


(1)초기 : 캔버스

(2) 중기 : 영상화면

(3) 현재 : 컴퓨터 그래픽


※ 현재는 현재라고 표현한 것은 기술의 발전에 의해 초기, 중기, 말기가 또 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