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MOOC 공부/애니메이션 영화의 혼성적 연출특성6 6. 애니메이티드 다큐멘터리 1. 애니메이티드 다큐멘터리 가. 애니메이티드 다큐멘터리의 정의 1) 애니메이티드 다큐멘터리란??? - 애니메이션 + 다큐멘터리를 결합한 합성어 - 영상구현 기술법에서 본다면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다큐멘터리 제작 - 1990년대 후발 웰스, 워드, 퍼니시스 등에 의해 장르에 대한 초기 단계 논의 시작 2) 애니메이티드 다큐멘터리 의의 * 독립적인 장르의 탄생 * - 애니메이션 : 허구와 주관적(물리적 세상 >> 영상기록) - 다큐멘터리 : 사실적이고 객관적(가상의 세상 >> 허구창조) 형이상학적 형태의 진실 + 주관적, 개인적 체험 >> 사건의 진실을 효과적으로 전달 설명하기 힘듬, 인간의 내면의 무의식적인 기억을 초현실적 이미지로 영상화함으로 애니메이션 영화, 다큐멘터리와는 다른 특성이 있음 - 제작의도.. 2018. 12. 25. 5. 신인장주의 예술 작풍과 애니메이션 1. 젊은 날의 고흐 가. 빈센트 반 고흐 - 1853년부터 1890년 - 요절한 천재화가 - 천재화가라는 명성과는 반대로 생존했을 때는 그림을 많이 팔지 못했다고 함 - 출생전에 사망한 형의 이름을 물려받음 : 집안의 맏이역할에 대한 부담감 - 가족들은 대부분 목사나 예술사 나. 화상(아트딜러)으로서의 고희 1) 구필화랑(네덜란드 헤이그) - 16살에 삼촌의 소개로 시작 - 매일 예술 작품을 접하며, 예술적인 능력을 키울 수 있었음 - 밀레, 코로의 작풍의 영향을 받음 2) 구필 앤 컴퍼니 재직(영국 런던) -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시기 - 약혼을 한 "유제니 로이어"에게 고백을 하지만 실연을 당함 3) 파리 구필(프랑스 파리) - 예술작품의 상품에 대한 혐오 - 실직을 당함 다. 선교사로서의 고흐 - .. 2018. 12. 17. 4. 초현실주의 작풍과 애니메이션 표현기법 1. 초현실주의 발자취 가. 초현실주의의 예술적 의의 1) 초현실중의 출발 1924년 앙드레 브로통의 쉬르레일리슴에서 출발 "이성에 의한 어떤 감독도 받지 않고, 심미적인 또는 윤리적인 관심을 완전히 떠나서 행해지는 사고의 받아쓰기" - 합리성, 사실주의 화풍과는 반대되는 >> 아방가르드적 예술의지 2) 20세기 초 거대담론에 저항하는 예술 사조 - 인간의 본성과 자의지 표현 - 전위적인 예술 작품 : 문명에 대한 허위, 위선에 대한 성찰 2. 초현실주의 예술 가. 초현실주의란? - 비 현실주의적, 비 물질주의적 관점으로 물리적 법칙에 지배받는 실제세상을 해체하고 재구성함 - 해방된 자의지에 대한 표출 - 기존의 질서에 부합되는 관념적 의식에 반대 접근 1) 해체주의적 공간구성 - 원근법, 사물의 배치원.. 2018. 12. 15. 3. 애니메이션 로토스코핑의 실제와 허구의 혼성 1. 스캐너 다클리(Scanner Darkly)와 로토스코프 가. 스캐너 다클리(Scanner Darkly) - 감독 : 리처드 링클레이터 - SF 소설 원작(필립 딕)의 애니메이션 영화 - 현실세계에 대한 사실적 묘사 + 인간의 내면세계 구현 나. 로토스코프(Rotoscoping) - 움직이는 실제의 대상을 실사로 촬영한 후 필름에 찍힌 영상을 이미지 형태를 한 프레임씩 종이나 셀룰로이드지에 베껴 그리는 방식 1) 로포스코핑의 특징 - 실사 이미지 >> 회화적 이미지 형태로 변형 2) 스캐너 다클리의 로토스코핑 - 현실세계에 대한 모방적 기능 - 인간 내면의 심리에 대한 허구적 구성 다. 플라이셔 형제와 로토스코프 1) 개발 배경 - 플라이셔형제는 "Pen and Ink"라는 직접 그리는 방법에 한계가.. 2018. 12. 14.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