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애니메이션>
1. 뮤지컬 애니메이션의 역사
가. 뮤지컬 애니메이션 <겨울왕국>
1) 겨울왕국, 2013
- 노래 <Let it go>와 함께 세계적인 열품을 불어옴
- 동화 <눈의 여왕>을 모티브로 각색하였음
나. 뮤지컬 애니메이션의 기원
1) 뮤지컬이란?
- 춤, 노래, 연극이 합쳐진 조합예술
- 19세기, 런던에서 극장주의 형태로 시작
- 20세기, 브로드웨이(미국) 중심으로 확산
- 디지털 시대가 오면서 매체 간 혼성적 장르가 가속화 된 장르
2) 뮤지컬 애니메이션의 기원
* 유성영화의 시대 *
- 20세기부터
무성영화 >> 유성성화
* 최초의 유성영화 *
- <재즈 싱어, 1927> / 상업적 성공
- 뮤지컬의 음악적 요소를 도입하였다.
* 최초의 뮤지컬 영화 *
- <브로드웨이 멜로디>가 제작됨
* 최초의 유성 애니메이션 *
- 증기선 윌리(Steamboat Wille, 1928)
- 휘파람소리, 감탄사와 같은 단순한 소리를 넣었지만,
이후 보편화 되기 시작함
* 최초의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 *
-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1934>
- 뮤지컬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장르의 창조
- 정교하고 사실적인 그림 묘사
- 당시, 획기적이고, 신선한 애니메이션이었다
- 1초에 24프레임의 풀 애니메이션으로 제작
- 로토스코프를 활용
- 뮤지컬 요소 : 극중 캐릭터가 노래로 상황을 전달
이후 많은 애니메이션에 영향을 넣어줌
(라이온킹에서 하쿠나마타타 설명하는 장면 등이 그런거겠지뭐...)
※ 뮤지컬 애니메이션
- 애니메이션 장르 + 뮤지컬(춤과 노래)
- 캐릭터가 노래, 춤, 연기를 하는 뮤지컬 요소를 이용하여 제작
다. 뮤지컬 애니메이션의 변천
1) 초기 뮤지컬 애니메이션
<판타지아, 1940> / <피노키오,1940> / <아기 코끼리 덤보, 1941> 등
* 신데렐라 *
- 1950년 디즈니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
- 비비디 바비디 부(Bibbidi-Bobbidi-Boo)의 주제가가 레코드 판매가 급증함
사실 SKT광고로 더 익숙했는데....
2) 뮤지컬 <미녀와 야수>
- 디즈니 씨어트리컬 그룹(Disney Theatrical Group)에서 기획
- 1994년 브로드웨이 팔레스 극장을 시작으로 2007년까지 공연
- 애니메이션 흥행에 따라 뮤지컬로 만들어 흥행한 경우
3) 뮤지컬 애니메이션을 통한 디즈니의 부활
- 1970년대 침체에 빠진 디즈니를 구한 애니메이션
- 헐리우드 뮤지컬 영화의 맥을 이었음
- <인어공주,1989> / <알라딘,1992> / <라이온킹,1994> 등
* 인어공주 *
- 캐릭터의 노래를 통해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기도 함
- 뮤지컬적 요소의 연출이 높아짐
4) 3D기술의 도입
- 보다 사실적이고 세련된 표현
- 환상적인 시각효과
- 영상미학적 가치 향상
* 미녀와야수(1991) *
- 무도회장 배경을 3D 그래픽으로 제작
- 컴퓨터 그래픽 사용이 늘게됨
뮤지컬 애니메이션 <겨울왕국>
1. 겨울왕국, 2013
감독 : 제니퍼 리, 크리스 벅
가. 작품성
- 주제가 <Let it go> 아카데미 주제가상 수상
- 아카데미 장편 애니메이션 수상
- 골든글러브 애니메이션 수상
나. 원작과 다른 스토리 구성
1) 눈의 여왕
- 선악의 대립구도
2) 겨울왕국
- 자매의 사랑과 화해
- 엘사 : 내면적 갈등
- 안나 : 헌신과 희생
2. 뮤지컬 배우로 탄생한 캐릭터
가. 엘사
1) 캐릭터 재창조
: 원작에서 벗어나, 뮤지컬에 맞는 컨셉, 디자인
2) 음성연기자 : 이디나 멘젤(Idina Menzel)
- 뮤지컬 배우 겸 가수
- 위키드를 통해 여우주연상 수상
3) 배우의 행동을 캐릭터에 적용
- Let it go를 녹음할 당시 배우의 손동작을 넣었다고 함
나. 안나
1) 음성연기자 : 크리스틴 앤 벨(Kristen Anne Bell)
- <하우스 오브 라이즈>, <히어로즈> 등에 출연
- 극 중 상황에 몰입하여 더빙 >> 생명력있는 캐릭터를 창조함
2) 배우의 행동
- Wait, what?은 성우의 입버릇을 적용
- 성우가 입을 깨무는 버릇을 애니메이션에 적용
다. 가상의 뮤지컬 캐릭터의 완성
캐릭터 연구 >> 개성에 맞는 연기 >> 성우의 제스처 반영
1) 과장
- 캐릭터의 동작이 크고 과장된 동작을 많이 적용시킴
- 과장된 동작은 생각과 감정을 전달할 때 유리함
-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스토리 몰입을 강화
3. 뮤지컬의 서사기능
가. 뮤지컬 애니메이션 구현 단계
1) 동화 속 캐릭터
- 동화속 일러스트, 이미지를 참고
2) 캐릭터에 생명력 부여
- 3D 캐릭터
- 과장된 연기와 춤
- 배우의 음성
3) 뮤지컬 애니메이션 캐릭터 탄생
- 최종적으로 소비자가 만나는 캐릭터
나. 뮤지컬의 8단계 서사적 음악 구성
1) 서곡(Overture)
- 극이 시작하기 전 연주하는 것으로 도입부에서 분위기 조성과 배경을 암시
처음에 합창하는 <Vuelie>가 해당
2) 오프닝 넘버(Opening Number = 오프닝코러스, Opening Chorus)
- 단체로 부르는 합창
- 활기찬 분위기를 통해 관객들의 관심을 유도
<얼어붙은 심장, Frozen Heart>가 해당
처음에 얼음을 나르고, 오로라가 나옴 배경의 분위기를 알려줌
3) 제시(Exposition)
- 노래를 통해, 극 중 상황 이전 배경과 어떠한 상황이 전개되는지 설명
- 정확한 가사 전달 및 발음이 중요함
<나랑 눈사람 만들래?, Do you want to build a snowman?>
: 엘사와 안나의 사이가 멀어진 상황을 말함
<태어나 처음으로, For the first tiem in forever>
: 대관식을 통해 성의 문이 열려 기뻐하는 안나
<겨울왈츠, Winter's Waltz> / <대관식 날, Coronation day> 등이 해당
4) 프로덕션 넘버(Production Number)
- 뮤지컬의 가장 하이라이트 부분
- 화려하고 유쾌한 분위기를 갖고 있음
- 2회 정도 소개
<Let it go>
5) 반복연주(Reprise)
- 작품의 이야기가 진행되는 도중 중요한 극적 순간 혹은 변화에 맞춰 이전 분위기를 변화를 시키기 위해 편곡되어 지는 연주
<Royal Pursuit>가 해당됨
엘사가 성밖으로 나가 엘사를 찾기 위해 안나가 엘사를 찾기위해 성을 나가는 장면
6) 쇼 스토퍼(Show Stopper)
- 분위기 전환의 역할
- 극의 진행이 느슨해 진 경우에 활기찬 노래와 연기 삽입
<Reindeer(s) are better than people> : 사람이 순록과 대화
<In summer> : 눈사람이 여름을 좋아한다
<Coronation band suite> 등이 해당
7) 아리아(Aria)
- 클라이막스
- 환희나 비극 등 작품의 주제가 담겨있는 이중창
<사랑은 열린 문, Love is an open door>
: 한스와 안나가 결혼하겠다고 노래부름
<태어나 처음으로(겨울성), For the first tiem in forever>
: 엘사의 겨울성에서 부른 노래로 자신은 안된다고 강력한 마법을 부림
8) 커튼콜(Curtain Call)
- 공연이 끝난 뒤 관객들의 환호에 답하는 배우들의 노래와 춤을 보여줌
- 합창곡, 음악이 편집되는 부분
마지막 장면에서 눈꽃잔치에 나오는 장면
Epilogue라고 검색하면 나옴니다.
4. 뮤지컬의 대사 및 장면연출
가. 음향
1) 사운드 효과
- 대사, 음향, 음악
- 영상과 연상관계를 구축
- 흐름을 관객이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
2) 노래
- 캐릭터의 대사를 대신 + 극의 흐름과 상황에 내재된 의미 + 운율적 표현
이 두가지를 통해 극적인 전달이 가능하다.
* 나랑 눈사람 만들래?, Do you want to build a snowman? *
- 엘사와 안나의 사이를 파악할 수 있는 노래
- 엘사를 향한 안나의 애절함이 들어남
- 안나는 놀자고 하지만 엘사는 거절함
"Come on, let's go and play! I never see you anymore
Come out the door It's like you've gone away"
"나와 같이 놀자! 더 이상 언니를 만날 수 없어
문에서 나와. 언니가 없어진 것 같아"
"We used to be best buddies
And now we're not I wish you would tell me why!"
"우린 사이가 좋았는데,
지금은 아니네, 이유라도 좀 알려줘"
"I'm right out here for you Just let me in"
"나는 언니를 위해 여기있어, 내가 들어가게 해줘"
위와같이 애니메이션 속 노래를 통해 상황 및 감정을 알 수 있게 된다
나. 장면연출
1) VFX를 통한 눈과 얼음 효과
- 눈 입자에 대한 분석, 파티클 시뮬레이션
- 눈송이(눈꽃)의 모양 패턴 파악
- 얼음이 녹아 고체에서 액체, 기체가 되는 것 등 세세한 부분까지 고려함
이를 통해 눈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음
또한 실제보다 과장을 통해 환상적인 표현도 가능함
출처 : https://youtu.be/z4e9i0sCX7c
<겨울왕국>의 혼성적 연출
1. 뮤지컬 애니메이션의 혼성적 장면
가. 배우의 대사
1) 노래
- 음률, 톤의 높낮이, 템포의 조절을 통해 호소력이 높게 전달할 수 있게됨
- 이를 통해 극적인 감성 표현이 가능하다
특히 Let it go를 부르는 장면에서는
갈등이 최고조에 이른 상황에서 엘사의 감정이 극적으로 표출이 됨
엘사의 현재의 심리를 알 수 있게 됨
억압된 엘사의 자유를 상징하게 됨
나. 환상적인 눈 효과
- VFX를 통해 사실적이면서 과장된 효과를 통해
상상의 이미지가 역동적으로 재현되었음
'K-MOOC 공부 > 애니메이션 영화의 혼성적 연출특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애니메이티드 다큐멘터리 (0) | 2018.12.25 |
---|---|
5. 신인장주의 예술 작풍과 애니메이션 (0) | 2018.12.17 |
4. 초현실주의 작풍과 애니메이션 표현기법 (0) | 2018.12.15 |
3. 애니메이션 로토스코핑의 실제와 허구의 혼성 (0) | 2018.12.14 |
1.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구현된 동서양 문화 (0) | 2018.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