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MOOC 공부/중국고전 명시의 이해와 낭송

4. 석서(碩鼠)

by 2000vud 2018. 7. 24.
반응형

1. 기본해석



碩鼠碩鼠(석서석서)

- 큰 쥐야 큰쥐야


無食我黍(무식아서)

- 우리 기장 먹지 마라


三歲貫女(삼세관여)

- 삼년이나 너를 먹였는데


莫我肯顧(막아긍고)

- 나를 돌보지 않네


逝將去女(서장거여)

- 장차 너를 떠나,


適彼樂土(적피낙토)

- 낙토로 갈것이야


樂土樂土(낙토낙토)

- 낙토여 낙토


爰得我所(원득아소)

-내가 가야할 곳




碩鼠碩鼠(석서석서)

- 큰 쥐야 큰쥐야


無食我麥(무식아맥)

- 우리보리 먹지마라


三歲貫女(삼세관여)

- 삼년 너를 돌봤지만


莫我肯德(막아긍덕)

- 덕 베풀줄 모르는 구나


逝將去女(서장거여)

- 반드시 너를 떠나


適彼樂國(적피낙국)

- 저 낙국으로 갈테야


樂國樂國(낙국낙국)

- 낙국이여 낙국이여


爰得我直(원득아직)

- 내가 있을 곳




碩鼠碩鼠(석서석서)

- 큰 쥐야 큰 쥐야


無食我苗(무식아묘)

- 우리 싹을 먹지마라


三歲貫女(삼세관여)

- 삼년 너를 모셨는데


莫我肯勞(막아긍로)

- 나를 위하지 않는 구나


逝將去女(서장거여)

- 맹세코 너를 떠나


適彼樂郊(적피낙교)

- 다른 나라로 갈거야


樂郊樂郊(낙교낙교)

- 낙교여 낙교


誰之永號(수지영호)

- 누구의 영원한 탄식인가!




2. 작품분석


碩鼠碩鼠(석서석서)

- 큰쥐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無食我黍(무식아서)

- 無(무)는 동사 부정형으로


三歲貫女(삼세관여)

- 여기의 3년은 <오랜 세월>이라는 의미가 더 강함

- 女(여)도 여자라는 의미보다 <너>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莫我肯顧(막아긍고)

- 莫(막)은 부정의 부사어로 쓰이고 있다.


逝將去女(서장거여)

- 逝(서)는 <맹세하겠다>로 해석이 좋다.

- <내가 맹세컨데 너를 떠날거야>라는 의미가 있다.


適彼樂土(적피낙토)

- 樂土(낙토)의 의미는 즐겁고, 행복하고, 희망찬 땅이다.

- 아마 농부가 착취에 시달려서 어디로 가야겠다는 뜻이다.


樂土樂土(낙토낙토)

- 2번의 반복을 통해 희망하는 곳을 더욱 강조함


爰得我所(원득아소)

- 내가 있을 곳을 낙토라고 강조를 한다.




碩鼠碩鼠(석서석서)

- 큰 쥐야 큰쥐야


無食我麥(무식아맥)

- 麥(맥)은 보리를 뜻한다.

- 1수에서는 기장, 2수에서는 보리를 사용하였다.

- 이를 통해 기장과 보리가 주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쓰여질 당시 '위나라' 지역은 남부쪽이긴 하지만 쌀농사가 주산업이

아니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三歲貫女(삼세관여)

- 삼년 너를 돌봤지만


莫我肯德(막아긍덕)

- 1수는 나를 돌보이 않는다고 하였고

- 2수는 나에게 덕을 베풀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다.


逝將去女(서장거여)

- 반드시 너를 떠나


適彼樂國(적피낙국)

- 저 낙국으로 갈테야


樂國樂國(낙국낙국)

- 낙국이여 낙국이여


爰得我直(원득아직)

- 直(직)이라는 한자는 <가치가 있다, 그럴 만하다>의 의미로 쓰이는 것 같다.

- 정말 이 곳은 내가 있을만한 곳이야




碩鼠碩鼠(석서석서)

- 큰 쥐야 큰 쥐야


無食我苗(무식아묘)

- 苗(묘)는 <싹>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 우리 싹을 먹지마라


三歲貫女(삼세관여)

- 삼년 너를 모셨는데


莫我肯勞(막아긍로)

- 勞(로)는 여기서 <수고를 하다>라는 뜻의 '동사'로 쓰이고 있다.

- 나를 위하지 않는 구나


逝將去女(서장거여)

- 逝(서)는 <맹세를 한다>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 통가자의 원리 : 시경 시에서는 발음이 같은 글자를 통용해서 쓰기도 한다.

- 맹세코 너를 떠나


適彼樂郊(적피낙교)

- 郊(교)는 <외곽, 교외>라는 뜻을 가진다. 즐거운 곳으로 떠난다는 뜻이다.

- 다른 나라로 갈거야


樂郊樂郊(낙교낙교)

- 낙교여 낙교


誰之永號(수지영호)

- 누구의 영원한 탄식인가!




3. 못다한 이야기


가. 저항시로 보인다. 시대적 배경은???


- 강렬한 형태를 하고 있지 않고 있다.

- 하지만 주나라 때 노예제도 사회가 붕괴되고 있는 시기라고 추측하고 있다.

- 정나라의 '관후'지역에는 도적들이 몰려 있었다는 기록도 있다.



나. 시와는 다르게 농토를 버리고 떠나지 못했을 것 같은데...


- 농민들은 식량을 생산하는 사람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감시를 당하기 때문에 쉽게 도망을 못 했을 것으로 추측합니다.

-  대부분 야반도주를 했다고 한다.

- 또한 정든 고향을 버리는 것은 쉬운일이 아닐 것, 지금 사회랑 다른 것이 별로 없다.

- 정치를 잘하는 왕이나 제후는 백성들이 몰리고

- 학정, 폭정을 하는 왕이나 제후는 백성이 떠난다.

- 맹자도 왕도정치, 인의정치를 배풀어서 백성들을 받들어야한다고 강조하였으며,

백성들의 혁명을 정당화 시키려고 했다.



다. 문화적, 정치적, 사회적으로 어떤 시기라고 볼 수 있는가?


천자의 나라인 주나라의 봉건질서가 변화가 되던 시기

북방민족의 침략, 자체 통치구조의 변화 등으로 인해

서주에서 동주로 변화하고, 춘추전국시대로 질서 형태 이어지는 시기


라. 한대악부에 대한 설명한다면?


- 음악을 관장하는 기관중에 하나

- 한나라 때에 각 지역의 민가를 검토를 하고 모으는 기관이었다.

- 각 지역의 분위기, 민풍, 민심을 반영하는 것을 잘 알고 있기에,

정치적 목적을 위해 백성들의 솔직한 소리에 관심을 가지고 수집한 것


한나라에 악부시가 나오면서 중국의 문인들의 전통시로 발전해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오언시, 칠언시가 대표적이라고 볼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