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리적 모델링(Physical modeling)
실제 악기의 물리적 구조를 분석하여 수학적인 모델을 만들어
컴퓨터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소리를 만드는 방식
수학적인 계산이 필요함
악기의 소리 정보가 아닌 악기의 구조적인 정보를 이용
※ 제약조건
- 악기의 구조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 음원 합성은 가급적 빠른 시간안에 이루어져야함
- 대체로 단순화된 물리 법칙을 따라 모델 구성
* Karplus-Strong model
소리가 자연스럽게 변해가는 현상을 모델로 만듬
* 필터(H(z))에 따라 소리의 양상이 달라진다.
* 음의 높이는 길이(L=length)에 따라 달라진다.
H(z)에 따른 변화
* 똑같은 딜레이 라인 사용 : 음 높이 비슷
* 사용되는 필터에 따라 음색이 다름
※ 국악의 경우 물리적 모델링 연구 미진 : 음고의 변화가 심함
따라서, 물리적 모델을 만들때 악기의 특성을 고려해야 함
악기 특성에 따라 다른 모델 활용 가능
반응형
'K-MOOC 공부 > 음악과 과학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주차 - 연주/공연(1) : 연주 (0) | 2017.11.02 |
---|---|
7주차 - 소리의 합성(4) (0) | 2017.10.23 |
7주차 - 소리의 합성(2) : 주파수 변조 (0) | 2017.10.20 |
6주차 - 소리의 합성 : PCM과 가산합성 (0) | 2017.10.03 |
6주차 - 소리의 합성 : 가산합성 (0) | 2017.10.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