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음악합성 방법
* PCM방식, 샘플링 방식
- 기존에 있는 소리를 가장 완벽하게 구현가능
* 스펙트럼 기반의 음원합성 방법
- 가산합성, 주파수변조
* 물리적 모델링
- 구조와 발음원리를 분석하여 수학적인 모델링을 한다.
* 그래뉼러(Granular Synthesis)
1950년대 이론적인 바탕 >> 1970년대 실험적 연구 >> 80년대 이후 실용화
- 매우 짧은 길이의 소리를 조합아여 긴 소리를 만드는 방법
- 마이크로사운드 스케일(Microsound time scale)
- 그림의 점묘기법과 유사
※ 접근방법
1. 그레인의 모음
2. 기존의 소리를 잘게 나눈 후 재구성
* 웨이브쉐이핑(Wave shaping)
소리의 파형을 변형하여 새로운 소리를 만들어 냄
수학적 : 비선형 왜곡(Nonlinear distortion)
반응형
'K-MOOC 공부 > 음악과 과학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주차 - 연주/공연(1) : 공연 (0) | 2017.11.02 |
---|---|
9주차 - 연주/공연(1) : 연주 (0) | 2017.11.02 |
7주차 - 소리의 합성(3) : 물리적 모델링 (0) | 2017.10.23 |
7주차 - 소리의 합성(2) : 주파수 변조 (0) | 2017.10.20 |
6주차 - 소리의 합성 : PCM과 가산합성 (0) | 2017.10.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