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M(Sampling synthesis, 샘플링 합성 방법)
소리를 녹음한 후, 그대로 재생하여 원하는 음을 만들어 내는 방법
※ 샘플링
기존에 존재하는 다른 소리 녹음하여 그대로 사용하는 과정
* 샘플링은 컴퓨터가 없어도 수행이 가능하다.
* PCM(Pulse Code Modulation)
샘플로 소리를 기록해, 다시 재생하는 방법
* 가산합성(Additive Synthesis)
소리의 스펙트럼 분석 후 그 스펙트럼 재현
PCM은 소리의 성분이 중요하지 않았으나,
소리의 스펙트럼을 통해 에너지 분포를 파악할때,
그 소리의 인공적 합성이 가능한지 확인해야한다.
Fourier의 이론에 기반
세상에 존재하는 소리를 이혼상으로
무수히 많은 사인파의 합의 소리를 통해 완벽히 재현 가능
사인파의 성분이 증가할수록 음색이 바뀜
- 초반부 : 새로운 소리가 덧입히는 것처럼 들림
- 소리 전부 합쳐진 뒤 : 하나의 소리로 들림
* 가산 합성을 통해 우리가 원하는 음색이 만들어짐
※ 가산합성의 문제점
1) 지루한 소리
2) 시간에 따라 음량의 변화 없음
※ ADSR envelope(ADSR 커브)
자연의 소리 음량 패턴관찰 → 음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 관찰
소리가 만들어 질 때
1. 소리가 없는 상태
2. A(attack) : 소리가 갑자기 커짐
3. D(decay) : 약간 줄어듦
4. S(sustain) : 음량이 일정 기간 유지
5. R(release) : 음량이 서서히 사라짐
'K-MOOC 공부 > 음악과 과학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주차 - 소리의 합성(3) : 물리적 모델링 (0) | 2017.10.23 |
---|---|
7주차 - 소리의 합성(2) : 주파수 변조 (0) | 2017.10.20 |
6주차 - 소리의 합성 : 가산합성 (0) | 2017.10.03 |
6주차 - 전자악기와 가상화 (0) | 2017.10.03 |
5주차 - 악기의 개념적 구조 및 진화 / 조율 (0) | 2017.10.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