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MOOC 공부/음악과 과학기술

6주차 - 소리의 합성 : 가산합성

by 2000vud 2017. 10. 3.
반응형

음원합성(Sound Synthesis)

 

컴퓨터를 이용해 음원 합성

인공적인 새로운 소리를 만들어내는 것

 

1. PCM(Pulse Code Modulation)

 

장점

 

소리를 그대로 녹음하여 그대로 재생

쉽고 직관적인 방법

 

문제점

 

실제 존재하지 않는 소리의 경우 녹음 불가

원하는 모든 소리르 다 녹음하는 것은 쉽지 않음

 

-----

 

2. 스펙트럼 기반

 

소리 스펙트럼의 구조,

주파수에 따른 에너비 분포를 보고 어떤 방식으로 다시 재현하는 것

실제 소리가 존재할 때만 가능

 

1) 가산 합성(Additive Synthesis)

 

무수히 많은 사인파의 조합으로 원하는 소리를 재현

푸리에의 원리를 이용해 만드는 것

 

2) 사인파를 못사용 할 경우

 

진폭 변조(Amplitude Modulation, AM)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ion, FM)

 

방송과 차이점은

소리를 만들 때 : 20~20,000Hz를 사용함

방송에서 kHz, mHZ를 사용함

 

---------

 

3. 물리적 모델링

 

- 소리를 만들어내느 악기의 구조에 집중

- 소리가 날 수 있는 상황을 컴퓨터 모델로 만들어

어떻게 소리가 나는지 시뮬레이션하는 것

 

1) 악기의 구조 분석

2) 물리적 구조를 수학적으로 모델링

3) 컴퓨터 시뮬레이션

4) 새로운 악기 제작

 

※ 시뮬레이션

컴퓨터를 사용하여 실험이 진행되는 것과

같은 상황에 어떤 결과가 나올지 테스트 하는 것

 

기타 방법

* waveshaping

* granular synthesis/pulsar synthesis : 알갱이의 조합으로 큰소리를 만드는 방법

* wave terrain synthesis : 2차원 평면에서 우리가 만드는 방법

* scanned synthesis : 스캔을 통해 조합하는 방법

 

--------

소리를 만드는 방법 크게 3가지

 

1) 소리를 그대로 녹음한 뒤 재생하는 방법

2) 스펙트럼 기반 방법

3) 물리적 모델링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