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MOOC 공부/애니메이션의 이해

2. 움직이는 이미지의 역사 2 - 2. 한국의 애니메이션

by 2000vud 2017. 9. 11.
반응형

한국의 첫 애니메이션


럭키치양CF(1956)


우리나라의 최초 순수 애니메이션


개미와 베짱이(1961) 국립영화 제작소


* 신동헌 *

진로 소주 CF(1960)

홍길동전(1967, 한국 최초 장편 애니메이션)


현재 홍길동전의 필름이 남아 있지 않음!


-------

홍길동전 이후


손오공, 1968

흥부와 놀부, 1967

황금철인 1968

호동왕자와 낙랑공주 1971

독고탁, 1972


등이 나옴

------


김청기 감독

한국 로봇 애니메이션의 선구자


로보트 태권V

마징가Z와 비슷한 점이 있지만,


태권도를 한다는 점과 육탄전을 버린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1978년대에는 똘이장군과 제3 땅굴을 통해,

반공소재 작품이 많음


1970년도에는 KBS, TBC, MBC에서 해외 수입 애니메이션으로 인한

침체기


-------

88년 서울올림픽 전에 우리나라 애니메이션의 필요성을 느낌

1987년 떠돌이 까치(KBS, 원작 이현세, 조봉남)

1987년 달려라 호돌이(MBC, 백승균)


1980년 둘리는 미라클 CF에 등장하였다.


1989년 2020 우주의 원더키트(김대중, 최우수 애니메이션 수상)

1993년 빛돌이의 2만리(세영 제작, 최초의 입체TV 애니메이션)

1995년 아마겟돈(이현세, 3D합성 애니메이션)

1997년 IMF로 인해 애니메이션 업개도 힘들어짐


1970년대 ~ 1990년대 OEM방식으로 애니메이션 제작을 하였고

미녀와 야수, 라이온 킹 등이 한국에서도 제작하였다.

세계 3대 만화제작국이었다.


MBC 머털도사(1989, 원작 이두호, 기획 황선길, 감독 염우태)


-------

2000년대


IMF극복으로 다시 자체 제작 애니메이션이 조금씩 늘어남

풀 3D 애니메이션이 많이 나옴


검정고무신(1999~

철인사천왕(1999)

트랙시티(1997~2000년 초)

레카(2001)

미래전사 런딤(2001)

바스토프 레몬(2001)

아장닷컴(2001)

큐빅스(2001)

탱구와 울라숑(2001)

마리이야기(2002)

오세암(2003)


* 마리이야기, 오세암은 안시영화제에서 수상을 받음

* 미래전사 런딤은 아시아 최초의 풀3D 애니메이션


한국의 3D 애니메이션

엘리시움(2002)

원더풀 데이즈(2003)

날으는 돼지 - 해적 마테오(2002)

아쿠아키즈(2004)

버스데이 보이(2005, 박세종,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최우수 작품상 수상)



3D 애니메이션은,

스토리의 부실으로 흥행에 실패했다!


2001년 남북합동으로

게으른 고양이 딩가(2001)

왕후심청(2004, 낼슨 신)


-------

유아용 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2003, 임준석)

코코몽(2008)

꼬마버스 타요(2010~)

변신자동차 또봇(2010~)

라바(2011~)

점박이 : 한반도의 공룡(2012)

고스트메신저(2014)

터닝메카드(2015)


성인용 애니메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2011)

돼지의 왕(2011)


북미와 공동제작


넛잡 : 땅콩도둑


-----

우리나라는


Pre Production(기획, 설정, 시나리오, 디자인),

Post Production(편집, 녹음, 후반작업)

은 뒤처저 있지만


Production(제작) 만큼은 세계적이라고 한다.


OEM방식이어서 발전이 되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