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MOOC 공부/감성미디어를 통한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4. 가상현실과 영화

by 2000vud 2018. 12. 25.
반응형

<가상현실 영화의 이해>


1. VR영화


가. VR영화란 무엇인가?


1) VR영화란?

- 기존의 스크린을 통해 영화를 감사하는 것이 아닌 360도, 입체화면을 감상할 수 있도록 만드는 영화


2) VR영화의 특징

- 360도의 입체화면을 감상

- 일방정인 영상출력이 아닌 원하는 부분으로 관객이 볼 수 있음

- 이를 통해 소극적이지만 상호작용이 가능한 영화


스토리 구성은 대부분 선형적 내러티브 형식이지만,

최근에는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구조 형식도 등장하고 있음


즉, 관객의 시선방향, 의지, 선택이 동일한 이름의 작품을 다른 작품으로 볼 수 있게 만듦


나. VR영화의 구분 


1) 제작방법


* 실사기반 가상현실 영화 *

: 360도 촬영을 통해 실사촬영을 통한 영화제작


* 그래픽기반 가상현실 영화 *

: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으로 구현된 영화


2) 관람방식


* 몰입형 *

: HMD, 고글 등의 장치를 착용하고 관람하는 형태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관람


* 케이브형, 동굴형(Cave 형식) *

: 돔형태의 스크린이나 방 전체를 영상을 출력하는 방식

 

출처 : https://www.ces.tech/Media/Multimedia/Photo-Gallery/Jan-10/LG-delivers-an-immersive-experience-with-the-Wall.aspx


* 탑승형 *

: 특정기기에 탑승하여 관람하는 것을 말함

기존의 관객의 어지럼증 해소를 위한 시뮬레이터 탑승


좌석이 움직이는 4D영화 대표적


※ 관람방식은 한가지에 그치지 않고 위에 2가지를 접목시켜서 할 수도 있다.

HMD를 착용하고 방안을 직접 돌아다니면서 하면 <몰입형 + 케이브형>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오토바이기기에 탑승하여 HMD를 착용하여 하면 <몰입형 + 탑승형>이 된다.


3) 장르별 구분


* VR 다큐멘터리 *

- 실사로 가장 많이 제작되는 장르

- 360도로 공간을 제공하여 직접 체험하게하는 몰입감이 높음

- 뉴욕타임즈는 VR 저널리즘을 확대하려는 노력을 함


* VR 애니메이션 *

- 3차원 공간의 특성을 그대로 VR환경에 적용

- 가상의 공간을 관찰하거나, 캐릭터로 직접 참여하게 할 수있음


* VR 호러 *

- 현실 세계와 완전히 차단된 환경에서 눈앞에 펼쳐지는 공포가 극대화됨


※ 이 외에도 SF, 드라마 등의 장르에서도 다양하게 시도 되고 있음



<가상현실 영화의 특징>


1. 전통영화 VS 가상현실 영화


가. 전통영화


1) 프레임

- 카메라 렌즈 앞만을 촬영

- 카메라에 담기는 별도 세트를 구축해서 촬영

- 카메라 정면만 꾸미고 뒤에는 아무것도 없음

- 프레임 밖에서 분위기에 맞는 조명을 사용


2) 미장센

: 연출자가 '카메라에 찍히는 모든 장면을 사전에 계획하고 밑그림을 그리는 것


- 인물, 사물

- 조명, 구도, 동선

- 카메라 각도 및 움직임

위에 모든 것이 미장센이라고 함


나. 가상현실 영화


1) 프레임

- 360도로 모두를 채우는 세트를 구축

- 공간의 모든 배열과 구조 동선을 고려해야함

- 모든 곳이 프레임이기에 조명을 사용하기 어려움


2) 기법


* 롱 테이크(Long take) *

- 영상을 긴 호흡으로 촬영하는 기법


* 딥 포커스(Deep Focus) *

- 한 프레임 속에 사건이나 인물을 모두 보여주는 기법


3) 연출적 장치

- 관객의 선택을 유도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


다. 관객의 시선유도


1) 오브젝트의 움직임

- 프레임 내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통해 관객의 시선 이동을 유도


2) 이벤트 발생을 통한 사운드

- 특정한 사건을 통해 소리를 발생시켜 관객의 시선을 돌리게 하는 방향

- 입체음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ex) 뒤에서 폭발음이 들리면 관객은 자연스럽게 시선을 뒤로 할 것이다.


3) 카메라의 이동

- 원하는 장면을 볼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

- 배우에게 360카메라를 버리에 달고 1인칭 시점으로 촬영

- 드론을 활용한 촬영


라. 영화의 쇼트


1) 전통영화

: 촬영의 기본 단위로 카메라로 한 번에 촬영한 장면을 의미


* 전통영화의 쇼트 구분 *


- 롱 쇼트(Long Shot)

- 풀 쇼트(Full Shot)

- 버스트 쇼트(Bust Shot)

- 클로즈 업(Close-up)


몽타주 이론을 활용하여 영화적 시공간을 구성하여

시각적 리듬과 심리적 감동을 줌


2) 가상현실 영화의 쇼트

: 360도의 가상현실 환경에서는 또 다른 의미의 몽타주 기법을 사용 즉 여러 컷을 360도 공간에 담아 새로운 의미를 창조


- 관객이 충분히 둘러볼 시간이 필요하여 상대적으로 긴 시간의 컷 유지

- 연출자의 의도와 다른 곳을 바라보는 경우가 생겨 의미 전달이 어려움


화면분할 등을 통한 새로운 몽타주 기법을 시도할 수 있음


마. 연출의 시점


1) 종이매체

- 화자 중심 시점으로 구분


2) 영상 매체

- 카메라의 위치가 곧 시점이 됨


* 조셉 보그스의 영화 시점 *


- 객관적 시점

: 전통적 2D 영화에 대체적 3인칭 시점


- 주관적 시점

: 인물의 시점 쇼트로 표현


- 간주간적 시점, 작가적 시점

: 캐릭터 중심의 클로즈업 효과를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요


바. 가상현실 영화의 상호작용성


가상현실만이 갖고 있는 특성으로, 실시간으로 가상현실과 즉각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어,

더욱 몰입하게 되는 특징


1) 소극적 상호작용

: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고개를 돌려 원하는 장면을 즉각적으로 볼 수 있음


2) 적극적 상호작용

: 신체적 상호작용이나 스토리에 관객이 개입함으로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