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마음을 먹고 많은 돌은 들여 노트북이나 휴대폰을 구입한 다음 제품의 불량이거나 의도치 않은 사고에 의해서 물건이 고장이 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을 하죠.
물건이 제대로 작동이 되지 않으니, 당연히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센터를 방문하거나 기사님이 집으로 출장방문을 하여 수리를 해야되는데 '구입한지 1년이 지나지 않았으니, 무상으로 수리받겠지' 하고 있는데 돈 내고 수리받으라는 경험이 종종 있으실 겁니다.
다 그런건 아닌데, 종종 생활흠집 즉, 생활기스를 트집으로 고객과실이라고 주장하며 무상으로 수리를 안해주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또 택배로 물건을 받았는데 물건이 파손되어 왔을 때도 있어 난감한 상황이 더 다양합니다.
택배의 경우 더욱 난감한 것이 AS센터를 가면 파손이니 유상수리로만 진행이 된다고 말하니 판매처에 문의하면 택배에서 파손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하면서 택배사에 전화하라고하면, 택배사는 제대로 배송했다. 니가 고장내고 우리에게 누명을 씌우냐라고 말한 사례도 있다고 하네요.
발송한 판매처 잘못이냐, 아님 배송했던 택배사의 잘못이냐를 소비자가 증명할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다고 봐야하죠.
어떻게 고장나도 수리한다!
델 고객과실/사고보장 서비스
불안제로 서비스
세계적인 컴퓨터 기업인 델은 이런 상황 때문에 획기적인 서비스정책을 시행하고 있는데요. 무상수리를 제품의 불량이나 결함에만 국한 시키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의 과실까지 무상수리로 진행을 하겠다는 정책입니다.
이렇게 되면 제 생각에는 이거를 악용하는 사람이 있을 것 같아요. 특히 예전 아프리카BJ들이 게임을 하다 짜증난다며 키보드를 던지고 주먹으로 내리찍고 하던 샷건이라는 행위를 고의적으로 하는 경우가 있을 것 같아서요.
자세히 보기를 확인하였더니, 의도적으로 손상하거나 오용 남용하는 경우 무상수리를 안해준다고 합니다. 그러니 매번 키보드나 LCD부셔서 서비스센터가면 항상 무상으로 수리해주는 것은 아니라는 거죠.
그리고 제품의 하드웨어에 대해서만 책임을 지지 고객이 갖고 있던 공문데이터, 전자계약서, 사진과 같은 데이터는 복구 및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업무중에 화가나거나 짜증이난다고 제품을 던지거나 파손하는 일이 없도록 합시다. 순간의 욱함 때문에 모든것을 한 순간에 잃어버리지 마세요.
자세한 것은 공식홈페이지는 참조하세요.
http://www.dell.com/learn/kr/ko/krdhs1/campaigns/130726_projector
서비스 정책은 항상 바뀌니까요.
'정보의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샤오미 보조배터리 정품확인 / 정품등록 (0) | 2017.03.22 |
---|---|
[KM Player, KM플레이어] DVD플레이어, DVD재생, DVD재생프로그램 (0) | 2017.03.17 |
내 맘대로 비교 4K, GTX 1070을 갖고 있는 노트북 (0) | 2017.03.08 |
러다이트 운동, 4차 산업혁명 과연 우리는? (0) | 2017.03.06 |
꽃샘추위, 그 의미를 알면 재미있는 단어 (0) | 2017.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