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MOOC 공부/사회적기업 아름다운 경영이야기

7. 사회적기업의 비즈니스 모델2 : 사회적기업가의 비즈니스 모델 수립하기

by 2000vud 2018. 10. 17.
반응형

1. 사회적기업의 정의


사회적 기업가의 관점에서 소셜미션?

- 수익모델을 가지고 비즈니스 모델 상에서 구현



가. 세계를 변화시킨 Social Innovations <영국 Young Foundation>


1) Open University : 개방대학

- 1971년 영국에서 처음 설립, 대학교육을 받지 못한 성인 대상 프로그램


2) Fair Trade : 공정무역

- 1940년 ~ 80년대 미국, 영국에서 시작하여 전세계적으로 확산


3) Grameen Bank : 그라만 은행

- 방글라데시에서 빈곤퇴치 사업으로, 세계적으로 전파됨


4) Oxfam : 옥스팜

- 1942년 영국에서 시작된 지역사회 단위의 빈곤 퇴치 운동


5) Linux S/W : 리눅스

- 오픈소스방식의 소프트웨어로 위키피디아, 오마이뉴스 등 다양한 영향을 줌


6) Amnesty International : 암네스티 인터네셔널

- 인권 보호와 성장을 위한 다양한 운동 조직체


7) NHS Direct : 국민건강상담서비스

- - 24시간 건강 상담서비스로서,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접속 가능


8) Big Issue : 빅이슈

- 노숙자의 자활을 돕고 사회구성원과의 소통을 돕는 잡지


※ 소셜이노베이션(Social innovations)이란?


- 사회적인 임팩트가 큰 사회혁신으로서, 복제가 가능한 프로그램이나 조직 



나. 사회적기업의 정의


- 사회 혁신을 수행한다는 보다 큰 꿈을 갖고 도전하는 조직


1)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기업가 정신과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하는 조직

2) 기업의 방식을 가지고 사회적 문제를 해결(대안적 조직)


1) 비영리섹터(미국)

- 학교, 병원 등 공공기관

- 사회서비스기관

- Social Firms


2) 사회적경제(유럽)

- 협동조합

- 상호공제조합

-재단




2. 사회적기업의 7가지 유형



가. 시민사회 친화형


1) 지역공동체 발전 모델(Local Community Development Model)


- 공동체 기반의 생산과 서비스를 제공

- 정부, 국제기구의 지역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

- 시장정보공유, 기술공동지원 등을 통해 규모의 경제효과를 추구


- 미국(Community Development Corporation)

- 영국(Community Interest Compand)


2) 고용모델(Employment Model)


- 고용 취약층(장애인, 노숙자, 청소년, 전과자 등)을 위한 고용창출을 위한 생산과 서비스 제공


3) 사회서비스 모델(Social Service Model)


- 정부가 해야할 복지영역이었다.

- 복지정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상 지역과 사람들을 바로 만날 수 있는 조직이 필요하여, 그 역할을 사회적기업이 대신해주고 있다.


특히, 1990년대 미국에서는 민영화하여 비영리섹터의 기관들이 사회서비스를 제공함


4) 시민 사회 재정확보 모델(Civil Society Support Model)


- 사회서비스 모델과 상당히 유사한 부분도 있음

-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속가능하게하기 위해 재정을 확보

- 최근에는 별도의 수익모델을 통해 재원을 확보하고 있다.



나. 기업친화형


1) 사회적 가치 사슬 모델(Social Value Chain Model)


- 자원고갈 및 장기불안으로 인해 지속가능한 소비

- 물건을 무조건 구입하기보다는 재활용하고 함께 나눠쓰는 소비문화형태를 주도

- 특정분야는 대기업을 통한 파트너쉽을 맺기도한다.


※ 보잉(Boeing)


- Pioneer Human Serivce와 협업하여 부품을 공급받고있다.

- Pioneer Human Serivce 전과자, 약물중독자의 장착을 돕는 기업이다.

- 교육과 고용을 통한 재범률의 감소, 보잉은 부품을 구입하는 사슬의 형태를 보여준다.


※  밴엔제리(Ben & Jerry)


- 주마밴처(Juma Ventures)에 아이스크림 프렌차이즈를 제공

- 청소년, 실업자, 장애인을 대상으로 직업 훈련을 제공


※ 기브섬띵백(Give Something Back)


-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한 50대기업

- 기업고객을 상대로 사무용품을 판매하여, 얻은 수익의 모두를 시민단체에 기부

- 구매한 고객회사들은 어떤 시민단체에 기부하면 좋을지에 대해 의견을 낼 수 있다.

- 고객이 어디에 기부되는지 알게되어 고객으로 하여금 기부를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된다.


2) 사회적 혁신 모델, 지속가능한 모델(Social Innovation Through Technology / Sustainability)


- 사회 변혁을 견인할 뿐만 아니라, 여타의 비즈니스와 같은 수준의 ROI를 지향

- 기술과 혁신을 통해서 빈곤을 해결하거나 환경과 같은 사회적 이슈에 적극적인 대안을 내놓는 모델


※ 엘비스 앤 크레스(Elvis & Kresse)


- 재활용품을 활용한 패션 브랜드 / 핸드백, 노트북 케이스, 키홀더 등을 생산

- 수익의 50%를 기부

- 프랑스, 벨기에, 싱가포르, 홍콩에 매장을 운영


※ 보다폰(vodafone)


- 영국의 이동통신회사

- 휴대폰 SMS를 통해 '엠페사'라는 소액결재서비스를 통해  금윰인프라를 제공

- 고객들의 소득증대에 기여와 동시에 공유가치창출의 사례에도 포함된다.


3) 사회적 기업 지원 모델(Social Enterprise Support Model)


- 사회적기업을 위한 사회적기업

- 컨설팅, 교육, 투자 등의 에코시스템을 조성하는데 힘을 쓴다.


※ 밴처 필라트로피스트(Venture Philanthropists)


- 실리콘 벨리를 기반으로 백만장자들이 소셜 벤처에 투자, 지원을 통해 사회적기업으로 발전하는 길을 열어주고 있다.

- 실리콘벨리의 <REDF>, 한국의 <행복나래>가 대표적이다.




3.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모델의 정의



가. 비즈니스 모델이란?


1) 누가 우리의 고객인가? 그 고객에게 어떤 가치를 어떤 방식으로 제공할 것인가?

2) 가치를 제공하는 대가로 어느 정도의 수입을 어떻게 거둘 것인가?

3) 전략을 실행으로 일관성 있게 안내하는 개념적인 지도



나. 비즈니스 모델 구성요소


1) 핵심가치(Customer Value Proposition)

- 고객이 누구인지, 구체적으로 무엇을 고객에게 제공해서 편익을 증대시키는 내용


2) 수익공식(Profit Formula)

- 구체적으로 어떻게 매출을 발생시키는지, 원가의 구조와 마진폭을 어떠한지?


3) 핵심자원(Key resources)

- 비즈니스 모델을 전개할 경우 수익성을 위한 어떠한 핵심적인 자원들이 존재하는지


4) 핵심프로세스(key process)

- 기업이 이와 같은 사업 모델을 실제 실행할 때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책



다. 비즈니스모델 캔버스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그림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Business_Model_Canvas


1) 핵심파트너

2) 핵심활동

3) 핵심자원

4) 가치제안

5) 고객관계

6) 채널

7) 고객 세분화

8) 비용구조

9) 수입원


"시각적인 구조화를 통해서 아이디어를 자극하는 일종의 점검 도구"

"작성된 모델이 제대로 돌아가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확인하는 것이 더 중요!"


※ 린스타트업


- 스타트업이 완벽한 제품을 기다려서 시장에 진입하는 것이 아닌

- 최소 기능만 하는 MVP(Minimally Viable Product) 베타제품으로 시장에 진입해 소비자들의 반응과 피드백을 보아가며 지속적인 개선



라. 비즈니스 모델의 의의와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모델의 중요성


1) 한국사회적기업의 취약점

- 영업손실이 많다는 것이다.

- 대부분 정부지원금으로 그것을 충당하고 있다.


2)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 기업의 방식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수익이라는 문제를 간과해서는 안된다.


3)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모델의 특성

- 상품, 서비스의 생산과 판매를 통해 소셜미션 달성되는 메커니즘을 제시

- 사회적기업가 사회적 문제 해결을 통해 공공과 사회 일반에 미치는 임팩트의 창출방법과 이의 설득 방식을 핵심적으로 보여준다.

- 고객이 구매자와 수혜자의 구분을 고려하여, 사회적 가치 및 수익을 확보해야 한다.

고객과 수혜자가 같을 수도 있다.


4.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모델의 4가지 핵심원리



가. 원리1

- 설득력 있는 있는 사회혁신에 대한 변화이론(사회적 영향 모형, Social Impact Model) 을 갖고 있어야 한다.


- 논리적인 인과관계가 설명체계를 갖추어야한다.


※ 키바(Kiva)

- 기부대상자를 연결해주는 중개 플랫폼 

- 미국 웹기반의 마이크로파이넨스(Microfinance) 기업이다.

- 자신의 기부를 통해 특정한 사람의 삶이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 볼 수 있게 함



나. 원리2

- 이해관계자의 win-win 모델

- 비즈니스 모델 상의 네트워크에 들어와 있는 사람들이 어떻게 win-win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모델을 가지고 있어야 된다.

- 각각 구성원들의 이해관계를 잘 알고, 수혜를 잘 알아야 한다.


※ 티치 포 아메리카(Teach for America)

- 교사, 학생, 학부모, 빈곤층의 공립학교

- 빈곡 지역에 우수한 교사가 가지 않아 질 좋은 교육을 받을 수 없어,

- 명문대를 다니는 대학생들을 통해 2년간의 교사경력을 보장

- 취업을 우대해주는 프로그램을 제공

- 정규 교사와 동일한 임금 지급


* 대학생 : 경력, 취업, 재정 혜택

* 학생 : 질 좋은 수업

* 학부모 :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게 됨


다. 원리3


-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할 수 있는 전략

- 모순된 환경을 극복해야한다

ex) 장애인을 고용하는 사회적기업은 생산성이 낮을 수 밖에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극복하고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전략을 만들어야한다.


※ 그라민 은행(Grameen Bank)


- 신용이 없는 사람에 대출

- 신용이 없는 사람들이 자립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은행

- 대출을 할 때 공동체를 중심으로 대출해줌으로, 5인 1조 형식으로 연대 융자 시스템을 갖고 있다.

- 여성을 중심으로 대출

- 연 평균 90% 이상의 환수율을 보여준다.


마. 원리4


-  장기적인 규모 확대, 성장할 수 있는 원리를 내포


1)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

- 생산의 규모를 늘려 서비스 원가를 낮춤


2) 범위의 경제(Economies of Scope)

- 다른 서비스와 제품을 함께 생산하여 비용 절감


3) 학습곡선효과(Learning Curve Effect)

- 생산과 서비스의 경험이 많으면 생산비용 낮아며 품질개선


4) 복제와 프랜차이징(Replication & Franchising)

- 성공적인 모델을 밴치마킹


5) 네트워크효과(Network Effect)

- 고객 수가 계속 늘어나면서 서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현상




5. 사회적기업 비즈니스 모델 만들기


가. 비즈니스모델 린 캔버스


-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스타트업에게 더 적합하도록 정리 된 캔버스

- 가능하면 앉은 자리에서 20분 안에 한 번에 완성, 모르는 부분은 비워도 좋다


1) 고객문제

- 주목하는 사회문제를 고객중심으로 서술

- 고객은 구매자와 수혜자로 구분


2) 고객의 현재 문제 대안


3) 솔루션

- 문제해결방안

- 여러 솔루션 중 가장 적합한 솔루션 도출


4) 대상고객

- 전체/유효/최우선 고객

- 수혜자


5) 고유가치제안

- 제품/서비스를 구매해야하는 이유와 다른 대안과의 차이점을 알기 쉽고 설득력있게 전하는 메시지


6) 경재우위

- 다른 제품이 쉽게 흉내낼 수 없는 가치


7) 고객채널

- 고객접근 경로 제시


8) 수익원

- 수익을 발생시키는 매출원


9) 비용구조

- 고정비와 변동비 등 예상되는 지출비용


10) 핵심자원 및 활동지표

- 핵심자원/핵심파트너/핵심활동의 정의와 성과지표


마지막으로 핵심활동에 대한 성과 지표를 적어야한다.



나. 린 캔버스에 기반한 스토리텔링 제작


1) 주목하는 사회문제 이야기

2) 시작하게된 직접적인 동기

3) 문제 해결 솔루션 제시

4) 대상 고객/고유가치 제안

5) 목표달성을 위한 전략 제시

6) 비용구조와 수익원

7) 향후 계획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