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념 해설1 형식
1. 형식의 일반적인 의미
* 내용 *
그릇이나 포장 따위 안에 든 것, 사물의 속내를 이루는 것
* 형식 *
사물이 외부로 나타나 보이는 모양
2. 형식의 철학적인 의미
형식은 플라톤 이래 문학과 예술에 관한 비평적 논의로 인해 내용에 대하여,
이항대립의 개념으로 이해되는 다양하게 거론이 되었다고한다.
3. 형식의 문학과 예술의 의미
양식과 장르에 의해서 형식을 나눈다.
문학의 형식은
시, 소설, 희곡, 평론 등이 있다.
* 시의 형식요소 : 운율, 이미지, 비유와 상징, 화자의 어조 등
작품을 이루는 본질적 원리인 형식을 나타내는 개념
러시아는
형식이 내용을 결정한다라고 생각했다.
개념해설 2 구조화 원리
- 시를 구조화하는 생성의 과전에 개입되는 원리
- 내용과 형식을 상호 연관시키고 침투시키는 잠재성의 원리
※ 시인의 내면의 내용을 언어로 형식화하는
과정에서 창작의 생성 원리로 작동하는 비가시적인 것
따라서, 시를 분석하면 이 구조화의 원리를 알 수 있다.
반응형
'K-MOOC 공부 > 우리 시대 한국의 시인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주차 - 기억의 유형 3. 제 2유형 폐허의 형식과 망각의 회로 (0) | 2017.09.21 |
---|---|
2주차 - 기억의 유형 2. 제 1유형 서정의 형식과 기억의 회로 (0) | 2017.09.21 |
2주차 - 기억의 유형 1. 기억 (0) | 2017.09.20 |
1주차 강의의 관점 - 주름2 (0) | 2017.09.19 |
1주차 강의의 관점 - 주름1 (0) | 2017.09.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