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MOOC 공부/음악과 과학기술

9주차 - 연주/공연(1) : 잔향과 실내음향

by 2000vud 2017. 11. 2.
반응형

잔향과 실내음향


잔향(Reverberation)


소리가 울리다가 그친 후에도 남아서 들리는 소리

소리가 실내의 여러 구조물에 부딛혀 반사되어 나오는 현상 때문에 발생

리버브, 반향이라고도 말한다.

메아리(에코)와 비슷


* 공간에 따라 느낌이 다른 *


- 스튜디오 : 잔향이 많음

- 커다란 홀, 성당 : 잔향이 많음


※ 소리의 전파과정


소리가 어떻게 퍼져 나가는 것인가?


- 직접 닿는 소리(직선)

- 가장 먼저들어오는 소리(직선)

- 바닥, 천장에 반사되서 들어가는 성분들도 있다.


-----

소리전파의 특징


반사가 많아 질수록 소리 음량 감소된다

>> 구조물에 반사가 되었을 경우 에너지를 흡수하기 때문이다.

>> 에너지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 시간에 따른 전파 ☆


직접음(Direct Sound) : 가장 높은 사운드


초기반사음(Early Reflections) : 조금 반사되는 사운드


나머지 잔향 성분(Subsequent Reverberation) : 많은 반사로 인해


----

소리의 반사과정


Original sound : 원음


Early reflections : 초기 반사된 음


Reverberation : 잔향 성분들


-----

잔향이 많은 공간


- 넓고 큰 : 공간 왔다 가는 시간이 있기 때문.

- 반사가 많은 재질 : 흡수가 되지 않고 튕길경우 사람의 귀에 들어오기 때문


잔향이 없는 공간


- 작은 공간

- 흡수가 잘 되는 재질


이를 통해 음향 설계 시 반영을 해야 한다.


※ 야마하홀(Yamaha Hall Tokyo)


 

 

출처 : https://www.yamahaginza.com/about/gallery/

 

- 인위적으로 잔향을 조절해주는 기능 많음

- 벽에 스피커가 있어 잔향을 더 많이 만들었다고 한다.

- 공간 안에서 다양한 조작을 통해 최대한 원하는 방향으로 만들 수 있다.


출처 : https://www.yamahaginza.com/about/gallery/

 

-----

잔향 시간은 음악 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 잔향이 많은 공간 : 느린 음악(성가)

- 잔향이 없는 공간 : 빠른 음악


잔향 시간은 음악 장르에 따라 적절하게 존재해야 한다


-----

잔향 구현방법


* DAW의 가상 악기 사용

* 음향 공간도 가상으로 꾸밀 수 있지 않을까?


>> 인공적으로 잔향을 구현


----

인공적 잔향 구현 방법


1. 하드웨어 리버브


상자안에 울림을 통해 구현한다.

스프링이나 철판을 이용

* 스프링 리버브, 플레이트 리버브라고 한다.


어색하고 부자연스러운 울림


2. 컨벌루션(Convolution)


- 두 개의 서로 다른 신호의 결합

- 신호의 합성

- 디지털 방식 : 수학 계산


*(별, Asterisk)라는 연산을 사용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