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MOOC 공부/음악과 과학기술

3주 소리의 과학(2) - 1. 심리음향학

by 2000vud 2017. 9. 18.
반응형

심리음향학(Psychoacoustics)


소리 인지를 연구하는 학문

음향학의 연구를 완성시켜주는 학문

과학적으로 아무리 좋은 구성을 갖고 있다고 해도

사람이 좋아하지 않으면 좋은 음악이 아니다.

지극히 주관적인 성격을 가진다.


주파수-음고를 사람이 어떻게 작용을 하는가?

진폭-음량 선형적으로 비례하지 않고,

지수함수나 로그함수적으로 대응되는 관계


인간이 소리를 인지하는 단계와

과학적으로 어떻게 적용되고 인지하는 적인가?


소리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요하기 위해

심리음향학을 공부해야 한다.



--------------

인간의 청각


일상에 늘 있는 일이어나는 일이다.


청각계에서 소리를 듣는 과정


1. 외우 : 기체의 진동을 모아준다.


2. 중이

고막이 기계적인 진동으로 인체에 소리를 전달한다.

그곳이 이소골이 진동을 한다.


3. 내이

달팽이관 안에 청각신경을 건들인다.


외이(기체의 진동) >> 중이(고체의 진동) >> 내이(액체의 진동)


실질적으로 진동수와 음고는

달팽이관에 의해서 인지가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