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OOC 공부/이미지로 따져 읽는 문화콘텐츠

13. 영화 8월의 크리스마스의 예술성과 상업성

2000vud 2019. 2. 4. 20:35
반응형

<8월의 크리스마스의 문학적 가치, '머뭇거림'>


1. 이상대립과 기호사각형


가. 이상대립(Binary oppositions)

- 텍스트 심층 구조의 의미론적 실체
- 기호(표층)보다 깊은 차원에 존재하는 의소(Seme) 범주 계열체 중에 상호 배타적인 기표 쌍

- 특정한 대상에 대한 기능을 범주화시키기가 용이함

 

<흑과 백>, <남성과 여성>, <동양과 서양>, <좌백호 우청룡> 등이 대표적이다.


나. 기호사각형(Semiotic square)

- 주요한 의미 차원의 대립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개념적 틀, 수단


2. 죽음을 향한 머뭇거림


가. <8월의 크리스마스> 기호학적 분석

- 텍스트의 의미가 현실에서 수용, 해독되는 과정과 원리를 해명


나. 기호학적 분석과 비판


- 문학적 요소 : 작품성, 예술성

- 엔터테인먼트 : 상업성, 경제성


1)  죽음의 머뭇거림


- 정원 : 삶 vs 죽음, 사랑

- 다림 : 설렘 vs 사랑


* 화장터 *

-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공간, 정원의 운명을 암시하는 모습


* 일식집 앞, 파출소 *

- 죽음은 언제나 혼자만의 아픔인가? 남은 자의 슬픔인가?

피할 수 없는 운명을 받아들여야만 하는 절규, 애처로움 분노와 항변


* 아버지의 비디오 조작 *


- 아들의 죽음을 받아들이 못하는 아버지의 슬픔은 VCR 조작의 미숙함이라는 은유로 표현됨 >> 아들의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아버지의 슬픔....


2) 사랑에 대한 머뭇거림


* 사진관 앞 *

- 머뭇거릴 감정의 시작

: 손수건에서 아이스바를 다림에게 주는 멋쩍은 정원의 손길, 그걸 받는 수줍은 다림


- 다시 돌아오기까지 망설이는 정원, 짐을 들어 스쿠터에 옮겨 싣기까지의 대화


- 기다림은 다림의 마음을 다잡는 시간임. 상념에 빠져있는 차 속 다림을 포착하는 감독의 시선, 그녀의 마음에서 피어나느 변화의 시간


* 오토바이 가게 앞 *

- 기울어진 우산, 비에 젖은 다림을 위해 꺼내든 손수건, 다림을 위해 우산을 들어주는 정원의 손길



<머뭇거림 속 예술성과 상업성의 변주>


1. 행위소와 행위소 모형


가. 행위소(Actant)

- 술사(=동사)와 함께 의미론적 메시지를 이루는 요소

- 동사는 인간을 중심으로 하지만, 행동을 위주로 말한다.

ex) 사랑은 움직인다, 권력은 이동한다. 등


- 인간, 동물, 대상물, 개념까지도 포함

- 전통 비평에서 인물을 대체

- 텍스트에서 행위소는 여러 인물로 분산되어 출현


* 전통적 개념 *

- 특정 인물, 캐릭터는 변화가 없음


* 오늘날 내겸 *

- 캐릭터는 다양한 변화가 있음

심바의 경우 후계자 >> 자유인  >> 지배자로 변함


나. 행위소 모형(Model Actantial)


행위소를 통한 의미 세계를 기술하는 역할


- 행위소가 인간의 모습으로 표출되었다면

사물, 장소, 시간,  추상적 가치 속에 투사되는 형상화

- 언어학의 대립 쌍을 활용하여 세기축(axis)의 도식 구성 : 욕망, 전달, 능력


* 욕망의 축 *

주체인 내가 대상을 원하는 욕망의 축

- 프라이드랜드(대상, Object)

- 심바(발신자, Sender) >> 프라이드랜드(대상, Object)

- 스카(발신자, Sender) >> 프라이드랜드(대상, Object)


* 전달의 축 *

 발신자가 대상을 수신자에게 전달하는 것


- 프라이드랜드(대상, Object)

- 무파사(발신자, Sender) >> 심바(수신자, Receiver)

무파사가 심바에게 프라이드 랜드를 전달한다.


* 능력의 축 *

- 주체인 내가 대상을 원할 때, 협조자(Helper)와 반대자(Opponent)가 있음


- 프라이드랜드(대상, Object)

- 무파사(주체, Subject)

- 랄라, 티몬, 품바, 라피키(협조자, Helper) VS 스카, 하이에나(반대자, Opponent)



2. <8월의 크리스마스>, 사진관내부 장면과 기호학적 분석


가. 기호와 의미작용

- 공시기표 : 정원에게 보여준 다림의 화장한 얼굴


* 외시기호 *

- 자연적 가치


기표 : 화장행위 >> 기의 : 피부미용


* 공시 기의 *

- 정원을 향한 유혹 혹은 사랑


나. 행위소 모형 - 사진관 내부 장면


1) 대상

- 데이트, 나들이


2) 발신자(정원)

- 사랑의 감정, 호감


3) 수신자(다림)

- 데이트 신청을 받는 사람


4) 협조자

- 화장, 유혹

- 맥주와 안주

- 서울랜드 무료티켓


5) 반대자

- 다림의 바쁨, 수줍음

- 정원의 무관심


6) 주체(다림)


다. 문학적 요소 '머뭇거림'의 상품적 가치 비판


1) 영화

- 구성 : 107개의 장면

- 만남 : 장면 11

- 데이트 요청 : 사진을 찍어줌 >> 영화를 보자는 약속

- 정원의 죽음 : 다림에게 전해지지 않음


2) 소설

- 구성 : 프롤로그 / 본문 56개의 장 / 에필로그

- 만남 : 프롤로그

- 데이트 요청 : 영화관 >> 호프집 >> 레코드집 >> 롯데월드

- 정원의 죽음 : 철구에 의해 전달


3) 머뭇거림 : 순수한 사랑의 독특한 표현

- 자신을 투영한 영화 개봉 당시 30대 관객

- 철저한 기획의도 대중성을 위한 편집


4) 머뭇거림에 대한 문화 기호학적 분석

- 자연스러움을 통해 무엇인가를 감추려는 것에 대한 비판적 접근, 전략

- 전국 120만명 관객 >>1998년 흥행 순위 3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