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OOC 공부/이미지로 따져 읽는 문화콘텐츠

11. 애니메이션, <라이온킹>의 신화 분석

2000vud 2019. 1. 28. 20:27
반응형

<라이온킹의 계급주의와 오리엔탈리즘 신화>


1. 라이온킹의 계급주의 신화


가. 시작장면의 의미


1) 주제가 "Circle of Life"

시작 장면에 많은 것을 담고 있음

 

출처 : https://youtu.be/GibiNy4d4gc


떠오르는 태양=권력자, 새로운 후계자의 탄생

어둠 속에 있었던 동물들이 사자가 나타났다는 가사에 맞추어 밝음의 공간으로 옮김

그늘에서 햇빛 아래로 움직이는 동물들


* 기의(가사) *


- 사자와 태양의 등장 >> 위상과 역할

- 동물의 왕이 있는 바위로 감 >> 피지배계급의 운명, 순종자세

- 프라이드 랜드에서 만 능동적으로 활동

- 자연적인 이치 삶의 순환


* 신화(가사) *


- 프라이드 랜드의 왕인 사자의 지배

- 사자의 지배하에서 만 풍요와 행복


2. 오리엔탈리즘 신화


가. 디즈니 애니메이션


- 어린이를 주 관객층으로 설정

- 감동적인 사랑을 알게 해주었으며, 도덕, 책임감 등 많은 교훈을 심어줌

- 화려하고 환상적인 판타지를 보여줌으로 풍부한 상상력을 더해주는 역할


* 라이온킹 *


- 아프리카 초원, 프라이드랜드가 배경

- 심바의 탄생

- 아버지의 죽음으로 삼촌 스카가 왕위에 오름

- 환영으로 나타나는 무파사와 심바의 해우

- 스카를 무찌르고 다시 왕위에 오름


나.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이데올로기


- 관점을 변경하면 스토리 속에 스며있는 또 다른 진실을 알 수 있음

- 헐리웃으로 대표되는 미국 중심의 보수적 이데올로기가 은밀하게 내재

- 강자, 남성, 백인, 서양 중심의 이데올로기를 표상

- 계급주의, 가부장제, 오리엔탈리즘, 선민의식 등


1) 포스터 강자 중심의 계급주의, 장자계승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The_Lion_King


- 대중들이 처음 접하는 애니메이션의 이미지

- 작품에 내재된 제작사의 이데올로기가 구체화

- 무파사와 심바의 교감

: 구름으로 형성된 무파사를 바라보는 심바 통해 프라이드 랜드에서 계승자의 타당성

: 배치된 구도를 통해 절대적 권력을 계승한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계급적 위상을 찾음


2) 백인중심의 오리엔탈리즘


-작은 체격 : 지배자를 올려다봐야하는 위치

- 주술적 행위 : 후계자의 상징을 바르는 행위, 흙을 뿌리는 행위

- 현실과 동일하게 상징을 표시

- 거북의 등껍질로 점을 보는 행위


* 색조를 통한 이데올로기 *

- 무파사, 심바가 스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금빛 피부, 균형잡힌 형태

- 하이에나들은 상대적으로 어두운 색


* 왜형을 통한 이데올로기 *

- 심바, 랄라는 우아하고 커다란 모습의 강자의 기표

- 작고 뚱뚱한 약자의 모습 티몬, 품바


※ 오리엔탈리즘이란?

- 서양의 관점에서 동양에 관한 왜곡되고 고정된 이미지나 편견을 형성하는 인식이나 태도


<라이온킹의 가부장제와 선민의식 신화>


1. 라이온킹의 가부장제 신화


가. 남성중심의 가부장제


1) 프라이드 랜드 영역

- 여성은 권력의 축에 배치될 수 없고 한쪽에 치우쳐 있음

- 왕, 후계자가 중심이 된 서열관계

- 프라이드 락의 정상에는 왕비가 설 자리가 없음

- 여성 캐릭터는 자신의 힘이나 역할을 전적으로 남성들의 이야기 안으로 국한시킴

- 신데렐라 콤플렉스, 피터팬 신드롬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남성 중심적 시각


비판을 많이 받았던 부분으로,

최근, <겨울왕국>, <모아나> 등을 통해 기존의 통념을 타파하려는 시도를 많이 함



2. 서양중심 선민의식 신화


가. 선민의식


※ 선민의식이란?

신이나 권력자에게 선택된 존재로 특별함을 부여받은 민족, 종족을 의미


1) 정통성

- 무푸사에게 심바로 이어지는 왕권

- 가사 "In the circle, The Circle of life"를 통해 자연의 섭리로 거부할 수 없음

- 스카에 의해 지배되는 왕국 : 정통성이 없기 때문에 황폐화됨

- 심바의 왕위 탈환 : 비가 내리면서 낙원으로 다시 변홤


3. 기호학에 대들기


가. 기호의 기능(Functions of signs)


1) 로만 야콥슨의 발화행위,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모델


(1) 발신자, Adresser

- 메시지에 대한 발신자의 감정, 정서, 태도 등을 표현

- 정서적(emotive)


(2-1) 맥락, Context

- 이야기의 대상과 상황

- 메시지와 그 메시지가 지시하는 대상과의 관계

- 지시적(referential)


(2-2) 약호, Code

- 기호 사이의 조직 원리

- 메시지에 사용하고 있는 언어(활동) 사이의 관계

- 메타 언어적(metalinguistic)


(2-3) 접촉, Contact

- 물리적인 채널이나 심리적인 연계

-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물리적, 심리적 연계

- 교감적(phatic)


(2-4) 메시지, Message

- 전달되는 기호(기의)

- 메시지 자체에서 만들어지는 미학적 기능

- 시적(poetic)


(3) 수신사, Adressee

- 수신자에 대한 메시지의 효과(명령, 광고 >> 행동촉구)

- 사역적(Conativ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