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OOC 공부/이미지로 따져 읽는 문화콘텐츠

6. 광고(!), 소비와 욕방의 변주

2000vud 2019. 1. 7. 19:31
반응형

<광고 이미지에 숨겨진 의미>


1. 광고


가. 광고란?


- 널리 알리다는 한자의 뜻

- 잠재적인 소비자에게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구입 방법을 알리는 목적을 지닌 일방적이고 비 대면적인 커뮤니케이션


1) 가장 오래된 광고


* 로제타 석(Rosetta stone) *


- 프톨레메우스 5세를 위한 송덕비

- 파라오의 권위를 알리기 위한 용도

- 이집트 상형 문자(14행), 디모틱 문자(32행), 그리스 문자(54행)


2) 광고의 패러다임 변화


1920년대 부터 제품의 평준화에 따른 개념의 변화가 시작됨


알리는 용도에서 상업적으로,

상업적 용도에서 공익의 형태로 변모


경제적 관점으로만 접근 할 수 없음

오늘날의 광고는 사회문화적 차원으로 변모되고 있음


정보제공이라는 외시적 접근에서 시각 이미지 중심의 설득형 공시적 접근으로 변화


이후에 다양한 형태로 광고는 변할 것이다.


나. 광고의 정의


1) 라틴어 ad vertere

- 라틴어 ad vertere에서 유래하였으며

- Advertising은 '주의를 돌리다' '마음을 어디로 향하게 하다' 의미를 갖음


2) 라틴어 Clamo, 독일어 Die reklame

반복하여 부르짖어 주의를 끌어 마음을 향하게 하는 행위


3) Advertisement

- 광고물이나 광고 메시지를 뜻함


4) Commercial

- 상업방송 광고의 메시지

- 소셜 커머셜이라는 말이 여기서 나온 것이다.


다. 광고의 특징


1) 올드 미디어

- 일방적 커뮤니케이션

- 대중적 전달 및 설득 커뮤니케이션

- 표현의 다양성


2) 뉴미디어

- 소비자와 상호작용이 가능

- 광고에 퍼즐을 맞춘다던가, 커서를 가져가면 동영상 재생 등

- 설문조사 등을 통해 맞춤형 광고


3) 기업의 슬로건


- 단순히 광고 카피가 아닌 기업의 경영철학 및 지향 가치

- 정체성을 달하는 문구로 확장

- 그 사용에 있어서 엄격함, 사용 주체의 사회적 책임 강조 등을 함


정체성을 전달하는 핵심 이이덴티티 요소의 하나로 인식됨


다. 종류별 광고 분류


- 광고 목적

- 광고 매체

- 광고 방법

- 광고 전략

- 광고 대상

- 광고 송신자


2. 광고의 상품 경제적 역할


가. 광고의 역할


* 기업(홍보) *

- 불특정 다수에게 제품을 노출 시키는 기회

- 제품의 인지도를 높임으로써 제품의 구매유발


* 대중매체 *

-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로 변모함

- 인기 있는 광고는 패러디 되기도 하며, 오락거리가 되기도 함


1) 상품 마케팅적 역할

- 소비자의 행동의 패턴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여 소비를 부추기는 방법

- 소비를 설득시키고 강화, 부추기는 방법의 하나


- 마케팅을 할 때 해당지역 및 국가에 대해 정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만들기도 한다.


쉬리의 경우 국내에서는 남북의 갈등을 대비시키는 포스터를 한 반면,

일본에서는 남자와 여자의 사랑을 연상시키는 포스를 사용하였다.


2) 경제적 역할

- 언제나 객관적이고 바람직한 소비문화를 이끌지 않음

- 허위, 과장 등 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하기도 함

- 소비자의 부적절한 선택, 소비습관을 조장하기도 함

- 우리의 욕망을 자극시키는 요소


3) 사회문화적 역할

- 문화콘텐츠와 연관하여 광고의 역할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

- 시대의 광고 중에서 동영상 광고는 대중들에게 하나의 문화콘텐츠로 소비됨

- 마케팅과 별개로 대중문화의 한 축을 담당

- 야놀자(하니), 오로나민씨(전현무)의 광고는 많은 패러디를 남기기도 함


지역, 국가의 정서에 따라 포스터가 달라지기 때문에 사회문화적 역할도 하고 있다.



<소비의 욕구와 욕망의 가치>


가. 대중문화 속 광고


가. 대중문화가 된 광고


- 광고는 현대 산업사회에서 상품과 문화의 경계를 허물면서 영향력이 매우 큰 대중문화의 하나가 됨

- 소비의 잠재의식을 사로잡으면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광고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음

- 다양한 특성과 역할 중에서 소비를 자극하는 욕망을 건드리기 때문


나. 광고 이미지 분석


- 문자, 이미지, 음성 음향가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1) 계열체(Paradigm)

- 소쉬르에 의해 착안, 바르트에 의해 문화 체계 분석에 도입

- 같은 범주 내에 속하며 서로 관련된 일련의 기표

- 주어, 목적어, 동사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계열체를 형성

- 롤랑 바르트는 의상, 음식, 건축, 장식물 등의 분야에도 적용


2) 통합체(Syntagm)

- 단어들이 순서 대로 배열되어 의미 있는 전체를 구성하는 결과물


* 문장 *

- 언어적 통합체 : 단어 + 단어 + 단어 = 문장

- 의상적 통합체 : 상의 + 하의 = 의복


다. 포스트모더니즘 광고


- 시대의 사회, 문화적 이미지와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

- 무의식적으로 사회적문화적 가치와 이미지를 전달

: 정보전달의 목적에서 이탈함

- 최대한 낯설게 느껴지도록 제작


1)문화적 텍스트

광고 상품, 모델, 배경, 카피 등의 조합을 통해 사회문화적 의미를 상징적으로 표현


2) 포스트모던 시대의 소비

- 보드리야르 : 감성적 판단에 의해 소비활동을 수행

- 소비를 통해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나타내거나 타인과 구별 짓는 기호를 확인하려 하는 것


낮섦은 수용자에게 긴장감을 줌으로써 광고를

그냥 지나치지 못하게 하고 시청자의 부주의나 분산을 막는 효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