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OOC 공부/우리 시대 한국의 시인들
4주차 - 문인수의 시 : 1. 심연의 불꽃
2000vud
2017. 10. 11. 16:36
반응형
문인수 시의 특성
1. 서정 본연의 모습을 보여줌.
주관적 시인의 내면 VS 객관적 현실
주체 VS 객체
내면 VS 현실
2. '풍경'과 '마음'이 상호 교섭하는 순간을 주시함
3. '생의 깊이와 밀도'를 끌어안으며,
'침묵' 속으로 가라앉힐 때 생겨남
삶의 경험이 고통과 방황은 '서정의 깊이와 밀도', '침묵'속에서
인고의 정신과 충돌하며 팽팽한 긴장을 형성
따라서, 압축되어 밀도가 높고 견고한 시가 된다.
-----
동강의 높은 새
문인수
동강 높이 새 한 마리 떳다.
저, 마음에 뚫린 구멍 꼭 그만하다.
산의 뿌리가 다 만져진다.
단 일 획 싶이 여러 굽이 새파랗게
일자무식의 백 리 긴 편지를 쓴다.
마음에 있는 풍경을 그린 작품으로
1연 : 강이 있고 새가 있다. >> 풍경재시
2연 : 마음에 뚫린 구멍이라고 말을 한다. >> 마음재시
3연 : 산의 그림자를 뿌리로 표현
4연 : 편지의 내용은 알 수 없지만, 강의 깊이처럼 흐른다라고 표현함
여백과 침묵이 많다.
의미구조를 응축하여 보여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