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K-MOOC 공부/현대물리학과 인간사고의 변혁30

15. 현대의 창세기 : 초끈이론과 우주론 막 우주론(Membranes) - 초끈이론에서 제안된 가설의 하나 - 열린 끈의 양끝에는 막(Brane)이 존재한다고 했다. - 막을 경계로 다른 우주가 존재한다는 가설이다. 평행우주, 양자역학의 다해석 세계 등이 있다. ----- 인류원리(Anthropic Principle) - 막 우주론에서 보듯이 초끈이론에 의하면 우주가 하나가 아니라 광장히 많은 수 있다. - 우리우주는 다중우주(Multiverse)의 한 우주(Universe)에 불과할 수 있다. - 수많은 우주는 각자의 성질을 띄고 있다. - 빛의 속도, 물리법칙은 우리 우주에서만 적용이 될 것이다. 우주의 성질을 규명할 때 중요한 단서로 작용 돼야 하는가에 대한 것이 인류원리다. 2017. 12. 22.
15. 현대의 창세기 : 급팽창 이론, 가속팽장과 암흑물질, 암흑에너지 대폭발 우주론의 문제점 1. 우주의 모든 곳의 온도가 2.725도로 똑같은가? 2. 온도가 같다는 것은 이미 에너지가 모든 곳에 고루 분배되었다는 뜻인데, 왜 아직도 지점의 온도가 같아야 되는데 어느 지점은 온도가 왜 다른가? 3. 빛에너지가 아직 도달하지 않았는데, CMB관측에 의하면 두 지점의 온도가 어떻게 같은가? 4. 전자기파(빛)은 자기홀극이 없다고 했는데, 우주는 왜 자기홀극이 없는가? ----- 급팽창(Inflation)이론 - 1980년 앨런 구스가 제안 - 빅뱅 직후 우주는 엄청나게 빠른 팽창을 한 짧은 기간이 있었다. 빅뱅 직후 매우 작은 부분이 엄청나게 뻥튀기가 되어 현재 우리가 관측하는 우주가 되었다. Q. 팽창은 언제까지 계속될 것인가? A. 팽창이 계속될 것인지, 한계가 도달하면.. 2017. 12. 22.
15. 현대의 창세기 : 대폭발 우주 우주의 팽창과 대폭발 허블의 법칙 -허블이 계속 은하를 관찰하는데 계속 은하가 멀어진다는 것을 확인한것 - 1929년에 미국의 허블이라는 천문학자가 발견하였다. - 다른 은하들이 우리 은하에서 멀어지고 있다. - 멀리 있는 은하일수록 빨리 멀어진다. 우주팽창은 풍선이나 빵처럼 커지는 것이다. 내용물의 크기는 그대로 있지만 반죽이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빅뱅 우주론 우주가 팽창한다는 증거를 토대로 과거를 거슬러 올라간다면 줄어들고 줄어들으면, 우주는 하나의 점이었을 수 있다는 주장 빅뱅을 통해 시간이 생겼다고 말한다. * 관측을 통한 빅뱅 검증방법 * 빛의 속도는 유한한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우리가 보고 있는 사물은 만지기 전까지 과거의 사물을 보는 것이다. 태양에서 받는 빛이 약 8분전에 받았던.. 2017. 12. 22.
15. 현대의 창세기 : 우주의 모습 밤이 어두운 이유 물리학에서는 우주론이라고 말한다. 올버스의 역설 Q. 왜 밤하늘은 어두운 것인가? A. 우주의 나이가 유한하고 빛의 속도가 유한한 사실에 의해 밤 하늘이 어두운 것이다. 1. 빛이 갈 수 있는 거리는 한계가 있기 때문 2. 적색편이 : 우주가 계속 팽창하기 때문에 멀리서 오는 빛은 오는 과정에서 왜곡되고 희미해진다. ----- 지구의 우주 주소 - 대한민국(Korea) - 지구(Earth) - 태양계(Solar system) - 오리온 팔(Orion Arm) - 우리은하(Milky Way) - 국부은하군(Local Group) - 처녀자리 초은하단(Virgo Supercluster)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Laniakea Supercluster) - 관측 가능한 우주(observable.. 2017. 12. 19.
반응형